earticle

논문검색

文化

『朝鮮陶磁木工展觀』도록 - 1930년대 일본 동경에서 개최된 한국 도자기, 목공예 전시회 도록

원문정보

Pictorial Record of 'Joseon's Exhibitions of Chinaware and Wooden Works' - Pictorial Record of the Exhibitions of Korean Chinaware and Wooden Works Held in Tokyo, Japan in the 1930s

『조선도자목공전관』도록 - 1930년대 일본 동경에서 개최된 한국 도자기, 목공예 전시회 도록

김상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st of Korea's Kyungmaedorock(auction book: 競賣圖錄) and pictorial record of exhibitions in the modern times were usually published in the 1930s. Although 1930s were periods of the Great Depression when economic slump continued because of the aftereffect of the slump in the stocks issued by the US in 1929, during this period, Japan began regular continental invasion starting from invasion of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To curio dealers, the 1930s were 'boom period of curio transaction' and in urban cultural aspects, the period is evaluated as the one when the first step of modernism was formed. Collection, photo-printing and arrangement of the data related to modern exhibitions including the Auction Book being published at that time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enable us to know characteristics of fine arts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paintings & writings to fine arts in addition to enabling us to revert the circulation history of our paintings & writings and curios. Furthermore, these data will become important data for reconstitution of the circulation history of the Eastern Asia's modern art works. Although the pictorial record of Joseon's Exhibitions of Chinaware and Wooden Works(朝鮮陶磁木工展) is a small and thin one, it records our country's high level chinaware and wooden works. Although we can't know the exact time for 'Joseon's exhibitions of chinaware and wooden works', they are assumed to have been held in Tokyo, Japan in the 1930s and there seems to have been sale of works, too. As such, studies of the books such as the auction book and exhibitions under Japanese imperialism have the first importance in the fact that through which we can examine the course of outflow of our art works to Japan. Furthermore, they can be studies of art-sociology that examine flow and phase of recognition and taste of art works of those days. And from now on, comparative studies of auctions and exhibitions being held in Japan such as Tokyo, Osaka and etc. as well as art markets in Seoul during modern times would also be necessary.

한국어

우리나라 근대기의 경매도록 및 전람회 도록은 대개 1930년대에 간행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1930년대는 1929년 미국에서 발생한 주가대폭락의 여파로 경제침체가 계속된 대공황시기였지만 이 시기 일본은 중국 동북지역 침략을 넘어 본격적인 대륙침략기로 접어들었다. 1930년대는 골동업자들에게는 ‘골동품거래 호황기’, 도시 문화적 측면에서는 현대성의 단초가 형성된 시기로 평가된다. 당시 발간된 경매도록을 위시한 근대 전람회 관계 자료의 수집, 영인, 정리 작업은 우리나라 서화와 골동의 유통사를 복원하게 해줌은 물론 서화에서 미술로의 근대적 전환기 미술의 특징을 알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나아가 동아시아 근대 미술품 유통사의 재구성에도 이들 자료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조선도자목공전관󰡕 도록은 비록 작고 얇은 도록이지만 우리나라의 수준 높은 도자기와 목공품을 수록하고 있다. ‘조선도자목공전’은 정확한 개최시기를 알 수 없지만 1930년대 일본 동경에서 개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작품판매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일제시대의 경매도록류와 전람회 관계 연구는 우리 미술품의 일본 유출경로를 밝히는 작업이 된다는 점에 일차적 중요성이 있다. 나아가 당시 사회의 미술품 인식과 취향 등의 흐름과 단면을 살피는 예술사회학적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근대기 서울의 미술시장은 물론 동경, 오사카 등 당시 일본에서 개최된 경매회와 전람회에 대한 비교 연구도 요구된다.

목차

<자료 요약>
I. 일제시대의 미술품 유통과 그 자료
II. 『朝鮮陶磁木工展觀』도록 간개(簡介)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엽 Kim, Sang-yop. 문화재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