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진활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 Study about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Using Photo Activ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최정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using photo therapy on elevat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To verify this effect, two questions were used; 1. Is the Group Counseling using Photo Activity effective in elevat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2. Is the Group Counseling using Photo Activity effective in elevat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in lower criteria such as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home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2 middle school students in 2nd grade in Incheon. The experiment group was 11 volunteer students and the controlled group was the other 11 students who were not in the same class as the experiment group students. As a measuring instrument, the questionnaire of Coopersmith(1967)'s 'Self-Esteem Inventory(SEI)' translated and adjusted to fit in our society by Choe, Yoon Hee(1993) was utilized. Four Lower criteria of Self Esteem Inventory(SEI) are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home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In the resulting data, the mean(M) and the standard deviation(SD) are based on t-test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is p < .05.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 groups is guaranteed by preliminary examination.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made by referring to Weiser's Photo Therapy Technique(1999), Park So Hyun's Photo Therapy Technique(2003), Jeong Yoe Joo's Art Therapy Technique(2003) and Art Therapy Technique of Counpia Center. This program was applied 12 times(for 50-70minutes each time) only to the experiment group.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using Photo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levation in self-esteem(p < .05) 2. In lower criteria of self-esteem,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levation in general and school self-esteem but not in social and home self-esteem. 3. Controlled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p > .05) in between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ost examin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up Counseling using Photo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elevat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s photos are very familiar media to students, further studies 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photos will be need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사진활동를 이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사진 활동을 이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나. 사진 활동을 이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하위척도인 일반적․사회적․가정적․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대상자는 인천시 소재 ㅂ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희망자를 받아 11명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 학생이 없는 학급에서 학생들의 동의를 얻어 11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도구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검사(Self-Esteem Inventory)를 최윤희(1993)가 우리 문화권과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본 연구자가 그대로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SEI.)의 하위척도는 일반적 자아존중감(General Self-Esteem), 사회적 자아존중감(Social Self-Esteem), 가정적 자아존중감(Home Self-Esteem) 그리고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School Self-Esteem) 4가지이다. 검사결과의 자료처리는 t-검정을 하여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 .05 수준에서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Weiser(1999)의 사진치료 기법과 이를 박소현(2003)이 차용하여 제시한 사진치료 기법, 정여주(2003)가 소개한 미술치료 기법 그리고 카운피아 연수원의 미술치료기법(2005)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만 12회(매회 50~70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를 각각 실시하고 이를 사전검사와 비교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활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자아존중감(p < .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에 자아존중감의 하위척도 중에서 일반적․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으나 사회적․가정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사진활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앞으로 학생들에게 친숙한 매체인 사진을 이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나 인성지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사진치료
  2. 자아존중감 이론
  3.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설계
  2. 연구의 도구
  3. 연구의 절차
  4. 자료의 처리
 Ⅳ. 연구결과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정
  2.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전 ․ 사후 검사 비교분석
 Ⅴ. 논의
  1. 요약
  2. 결론 및 논의
  3.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정화 Choi, Jeong-hwa. 부흥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