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Activity-Oriented Career Guidance Program on Self-Esteem and Career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남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tivity-oriented career guidance program on self-esteem and career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several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as follows.First, will the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activity-oriented career guidance program is carried out, becom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 activity-oriented career guidance program is not carried out?Second, will the career recogni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the activity-oriented guidance program is carried out, be improv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which the activity-oriented direction guidance program is not carried out?For this study, we selected class 5(number of students: 30)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lass 6(number of students:30) as the control group from the fifth grade students at an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the activity-oriented program which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purpose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Daegu Education and Science Research Institute(2002) and Seoul Education and Science Research Institute; the program used for Lee, Young-Hee's Study(2004); and "Study on the Aptitude Tes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2006)" by Seoul Education Institute.The measurement tool for this study was questionnaires on self-esteem and career recognition. For the self-esteem scale, the Self-Esteem Scale(SES) developed by Rogenberg(1965) was used . The questionnaire on the career recognition was based on pre-research materials which refer to the career education data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82), and on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o, Han-Kyu(1997). This questionnaire also was verified by Lee, Bong-Soon(2001) and Lee, Kyeong-Sook(2007).The SPSS WIN12.0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test of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pre-test results of self-esteem test and career recognition test was done to analyze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test was also conducted to verify difference in grad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the activity-oriented program was practic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5.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First, after the activity-oriented program was carried out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en self-esteem was tested by T-test at the level of p<.001.Second, after the activity-oriented program was carried out, there was meaningful improvement in career recogni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t the level of p<.05.The subordinate areas of career recognition, which are "self-understanding," "degrees of interest in career," and "decision-making for the career plan," showed the meaningful improvement.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ctivity-oriented career guidanc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career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아질 것인가? 둘째,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진로인식이 향상될 것인가? 이와 같은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의 S초등학교 5학년 5반(30명)을 실험집단, 5학년 6반을 비교집단(30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대구 교육과학연구원(2002), 서울시 교육과학연구원(2001)에서 개발된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이영희(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 및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의 ‘초등학생용 적성검사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2006)’를 참고하여 연구자의 의도에 맞게 활동중심의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진로인식에 관한 질문지이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전병재(1974)가 Rogenberg(1965)가 개발한 Self-Esteem Scale(SES)을 번안하고 다시 박구연(2001)이 수정하여 사용한 척도로서 양명옥(2003)의 연구에서 검증된 것을 사용하였다.진로 인식에 관한 질문지는 한국교육개발원(1982년)의 진로교육 자료를 참고로 한 선행연구물과 조한규(1997)가 작성한 질문지를 토대로, 이봉순(2001)과 이경숙(2007)의 연구에서 검증된 것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와 진로인식 검사의 사전 검사 결과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에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투입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의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05에서 검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를 t-검증한 결과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진로인식 향상이 p<.0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진로인식의 하위영역인 ‘자기이해’, ‘직업에 대한 관심도’, ‘진로계획에 대한 의사결정’ 부분에서 각각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인식의 향상에 긍정적인 향상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 이론
  2. 진로인식
  3.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
  4. 자아존중감
  5.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프로그램
  4. 연구절차
  5. 자료처리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2. 활동중심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진로인식 향상에 미치는 효과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은주 Nam, Eun-Ju. 서울숭미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