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의 전통미

원문정보

Korea's traditional beauty

김용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outlines Korea's traditional beauty based on the country's ceramic art and the artistic quality of the Seokguram Grotto of the Silla era. The author owes to the Koh, Yoo-seop's theory and the studies by Japan's Yanagi Muneyoshi, who is one of the founders of Korean aesthetics and also one of the pioneers of the ceramic art and a few Korean archeology fine art historians to describe Korea's traditional beauty in his own way. What fine art historians and aestheticians note about Korea's traditional beauty in common is artless art, inartificial artificiality, indifference or heedlessness. This means a nature-oriented, nature-creates-nature attitude without a sense of purpose or preconditions in production of works. Immanuel Kant called such indifferent beauty of an purposeness objectivity free beauty, which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Korea's traditional beauty. In this vein, the author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by giving a chapter to Korea's traditional beauty viewed based on Kantian aesthetics.

한국어

본 눈문은 한국의 전통적 美를 도자기 예술과 신라시대의 석굴암 불상의 고도의 예술성을 토대로 하여 간략하게 약술한 것이다. 고유섭(高裕燮) 이론과 특히 한국미학사와 도자기 미학의 개척자중 한사람인 일본의 야나기 무네요시와 몇몇 한국 고고미술사학자들의 한국 전통미에 대한 연구서를 통하여 필자 나름의 한국의 전통미를 해명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미에 관해서 모든 미술사가 내지 미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것은 무기교의 기교니 무작위의 작위 혹은 무관심성 또는 무심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예술가가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마치 자연이 자연을 창조하는 경우와 같이 어떤 목적의식이나 전제된 조건 없이 작품을 만드는 자연적 태도를 의미한다. 칸트는 이와 같은 목적 없는 합목성의 무관심의 미를 자유미라고 했는데 따라서 필자는 한국의 전통미는 칸트의 자유미와 일치되는 면이 있어 칸트의 미학으로 본 한국의 전통미를 한 절로 설정하여 결론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목차

【요약문】
 1.한국의 전통 이념
 2.한국의 미학과 민예
 3.야나기 무네요시의 한국 도자기 미학
 4.석굴암의 美
 5. 한옥의 미와 공간
 6.칸트의 미학으로 본 한국의 전통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정 Kim, Yong-Jung.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