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80년대 민주화운동 소재 영화의 민족주의와 탈식민적 욕망

원문정보

Nationalism and postcolonial desire in the films treating democracy movement in the 1980s

이희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postcolonial desire underlying in the actively produced recent films which depict the period of desiring spiritual modernization, democracy movement in the 1980s. Further, it investigates the reasons why Korean Blockbuster, unlike Hollywood Blockbuster adopting universal narrative strategies, adheres to autoethnography, which refers to Korean context and national specificity. The films analysed in this study, “May 18” and “The Old Garden”, commonly do not deal with outer enemy called North Korea and the corresponding division ideology which has been frequently shown in Korean Blockbuster. Rather, they are related to postcolonial desire, the struggle against inner enemy called spiritual pre-modernity. The two films set a male subaltern group or a male elite as the historical agent. Then, they produce an epic narrative of male group who once was the historical agent in democratic movement in the 1980s, or a narrative of masochistic male subject who led to a failure his responsibility granted from society. This is to ascertain the male as the historical subject through self-reproductional film text as of today that failure of postcolonial project was proven by the IMF depression and that appear symptoms of patriarchal crisis according to weakened masculinity. The male subaltern group is distinguished as a hero of epic due to their superficial and primitive power which lacks among elites and intellectuals, and the male elite, endowed with female characteristics such as self-meditation/reflection, is described as a self-reflexive subject. In this process, the role of woman is reduced as a recorder of the history of sublime male subject.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제작이 활발해지고 있는 80년대 민주화운동이라는 정신적 근대화를 열망하던 시기를 소재로 한 작품들에 함의된 탈식민적 욕망을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형 블록버스터가 보편적인 내러티브 전략을 취하는 할리우드의 블록버스터와 달리 한국적 맥락과 민족적 특수성이라는 자기민족지에 집착하는 이유를 고찰해본다. 분석대상인 <화려한 휴가>와 <오래된 정원>은 공통적으로, 기존 한국형 블록버스터에 주로 등장하던 북한이라는 외부의 적과 그에 따른 분단이데올로기의 문제와는 달리, 정신적 전근대성이라는 내부의 적과의 투쟁이라는 탈식민적 욕망과 관련된다. 두 작품은 남성 서발턴 집단이나 남성 엘리트라는 남성 주체를 역사의 작인으로 설정한다. 그러면서 과거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주체였던 남성 집단의 영웅담이나 자신에게 부여된 사회적 책무를 실패로 이끈 남성 주체의 피학증에 관한 내러티브가 구축된다. 이것은 IMF로 탈식민적 욕망의 좌절이 증명되고 남성성의 약화에 따라 부권의 위기가 징후로 나타나고 있는 현재, 자기재생산적인 영화텍스트를 통해 역사의 주체로서의 남성을 재확인하는 것이다. 남성 서발턴 집단은 지식인이나 엘리트에게 결여된 표층적이고 원시적인 힘을 가진 존재라는 이유로 영웅담의 주체로 부각되고, 남성 엘리트는 성찰하고 반성하는 존재로서 여성적 특질을 부여받으며 자기반영적인 주체로 표현된다. 이 과정에서 여성의 역할은 숭고한 남성 주체의 역사에 대한 기록자로 축소된다.

목차

초록
 1. 한국영화의 자기민족지적 특성
 2. 기념비의 정치학(politics of monument)
  1) 역사적 작인(agent)으로서의 남성 주체
  2) 서발턴과 엘리트
 3. 민족주의와 남성 전유
 4. 결 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희승 Lee, Hee Seung. 동명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Professor,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 Tongmyo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