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하계기획학술대회: 길 위의 고전문학, 그 떠남과 떠돎의 시선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 형태와 현실인식

원문정보

A Study on Kihaengkasas by women in the latter Joseon period and its travel mode and awareness of reality

백순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haengkasas by women in the 19th century were as follows : Buyeono -jeongki, Kuemhaengilki, Yi-Buin Kihaengkasa.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Kihaengkasas by women in the latter Joseon period and its travel mode and awareness of reality. It is certain that we are able to realize characteristics of woman traveler, travel course, awareness of reality.Travel mode of Kihaengkasa by women contains the following factors ; transportation methods, number of traveling companion, travel itinerary.Women traveler were the married and the high position of family. Travel courses use a representative road in each region. Travel mode of Kihaengkasa by women in the latter Joseon period shows official travel of considerable scale like this. Awareness of realities of Kihaengkasas by women contains interest in local folklore and miss feeling of parents. Those indicate women's viewpoint on self-identity, family community, local folklore.As seen from above, The outcome and prospects of this study run as follows ;At first, we can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Kihaengkasas by women through several elementry of travel mode. Second, we can also grasp awareness of reality of Kihaengkasas by women. Third, we can compare Kihaengkasa by women with another genres by women. For example, Kihaengkasa by women in the 20th century, Hwajeonga, and so on.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부여노정기>, <금행일기>, <이부인기행가사> 등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 세 편에 대한 검토를 통해 여성 여행자의 특성과 여정의 구성, 현실인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여성기행가사의 여행 형태를 보면 교통수단이나 여행 동반자의 수, 여행 일정 등으로 볼 때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여성 여행자들은 혼인한 여성으로서 상당한 가문내적 지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요 여정과 경관의 구성을 보면 작자들은 각 지역의 대표적인 도로를 여로(旅路)로 이용하고 있으며, 제시된 주요 경관 역시 그 노정 내에서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 형태는 모두 가문 내의 후원 아래 진행된 공식적 여행의 성격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여성기행가사에 나타난 작자들의 현실인식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여성들은 특정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부여함으로써 타 지역을 타자화하기보다는 각 지역 민속에 대한 고른 관심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여행의 동기나 과정 자체에서도 나타나듯이 여성들은 여행을 통해 자신의 근원을 강조함으로써 자기정체성을 보다 강고히 하는 계기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는 여성들이 자기 자신, 가문 공동체, 그리고 지역문화를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가 하는 점을 드러낸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여행의 형태와 그 특징
  1) 여성 여행자의 특성
  2) 여정과 그 특징
 3. 여성의 여행체험과 현실인식
  1) 지역 민속문화에 대한 관심
  2) 사친지정(思親之情)과 근원 회복의 지향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순철 Paik, Sun-Chul.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Korea University, Institute of Korean Culture Studies)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