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하계기획학술대회: 길 위의 고전문학, 그 떠남과 떠돎의 시선

판소리문학에 나타난 유랑예인집단의 양상과 의미

원문정보

The Meaning and Aspects of the Nomadic Artists Groups on Pansori Literature

최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discussion, I examined various shapes of nomadic artists groups and the inner meanings of the works, and .In these two works I discovered the nomadic artists groups such as Sadangpae, Choranipae, Punggakjangipae, Gakseolipae, Sotdaejangipae, Hwajuseung (Gutjungpae), Paldomudang, Deungjimkkun, Sogyung, Walja (Gulja) and Sangyeo-Sorikkun. And I could know words of their songs, melodies and rhythms all of which they had as contents of their perfor -mances.After studying different versions of their performances, we could see that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s vary depending on changing times and these performances have also changed whenever the times change. Meanwhile, we examined the literary inner meanings of the appearance of and The nomadic artists groups  in illustrated an humorous world view of grass-roots, and realized villain's revenge and pleasant punishment against bad Nolbo. has a story in which the work shows nomadic people's tragic life and their will to make their sad life better.Especially, shows the sympathy for the nomadic artists groups and it tries to make their dreams come true, but at the end of the story, the story concludes with their dreams not realized.Pansori Literature focuses on nomadic artists groups and the reality of nomadic artist groups' life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Pansori singers who tried to convert their everyday hardships into art. Nomadic artist groups handed down words of songs and the words serve as important data for us to discover the 19-20 century performance history. 's  Nolbobak words and are important in that they enable us to see the past footsteps of nomadic artist groups and that they show us concrete traditional examples of Pansori performance.

한국어

본 논의는 <흥보가(전)>와 <변강쇠가>에서 드러나는 유랑예인집단의 다양한 형상과 작품 내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두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예인집단은 사당패, 초라니패, 풍각장이패, 각설이패, 솟대장이패, 화주승(굿중패), 팔도 무당, 등짐꾼, 소경, 왈자(걸자), 상여소리꾼 등으로, 그들이 공연종목으로 가지고 있었던 노래의 사설과 연주 내용 등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이본군을 살펴본 결과 이들이 가진 공연 내용도 시대에 따라 변모되어 왔음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한편 이들의 등장이 지니는 문학 내적 의미도 살폈다. <흥보가(전)>에서의 유랑예인집단은 놀보에 대한 하층 천민의 복수, 유쾌한 징치, 민중해학적 세계관의 실현에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변강쇠가>에서는 유랑민들의 비극적인 삶과 이에 대한 해원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작품 전체에 대한 의미인 바, 특히 유랑예인들에 대한 동정과 해원이 부각되었으나, 미해결된 채로 작품이 마무리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판소리 문학이 주목하고 있는 유랑예인집단의 형상은 곧 고단한 삶을 예술로 승화시키고자 했던 소리꾼들의 현실과 크게 멀지 않았다. 판소리 문학은 이들을 불러내고 소환함으로써 당당히 판소리의 주요 부분을 담당할 수 있게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남긴 사설은 19~20세기 연희사를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흥보가(전)>의 놀보박 사설과 <변강쇠가>는 서민예술의 한 부분을 담당한 이들 유랑예인집단의 궤적을 밝히는 동시에 전통 연희의 구체적 실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흥보가(전)>과 <변강쇠가>에 나타난 유랑예인들의양상
  1) 사당패
  2) 초라니패
  3) 풍각장이패
  4) 각설이패
  5) 솟대장이패
  6) 화주승, 굿중패
  7) 팔도 무당
  8) 소경
  9) 왈자, 걸자
  10) 상여소리꾼
  11) 가객, 율객
  12) 등짐꾼
 3. 판소리문학에서 수용한 유랑예인의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혜진 Choi, Hye-Jin. 목원대학교(Mokwo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