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를 이용한 2단계 CSTR/살수층 생물막 반응기에서 기상의 trichloroethylene(TCE) 분해

원문정보

Gas-phase TCE Degradation in a Two-stage CSTR/TBR System Using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최영범, 이은열, 박성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two-stage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CSTR)/trickling biofilter reactor (TBR)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degradation of gas-phase trichloroethlene (TCE) using Methylosinus trichoporium OB3b. Mrthylosinus trichosporium OB3b was immobilized on activated carbons in TBR and the microbial growth reactor of a CSTR was coupled for the reactivation of the deactivated cells during TCE degradation. The effect of operation variables on TCE conversion and degradation rate were studied. At inlet TCE concentrations ranging from 10 to 80 mol/L, TCE degradation rate was increased up to 525 mg TCE/Lㆍday with 75% conversion. The TCE degradation rates were also increased with increse in broth recycle flow rate, gas flow rate and dilution rate. When the temperature of TBR was changed from 30℃ to 15℃, TCE degradation rate and TCE conversion were increased due to the enhanced TCE transfer from gas-phase. The two-stage reactor system was found to be stable and has been operated for more than 270 day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난분해성 물질인 기상의 TCE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CSTR과 TBR을 연결한 2단계 생물막 반응기를 제작ㆍ운전하였다. TBR에는 TCE 분해능이 탁월한 메탄자화균인 Methylosinus trichosporium OB3b를 활성탄에 고정화시켰고, 기상의 TCE를 유입부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분해시켰다. 개발된 반응기 시스템의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TCE 분해속도, TCE 전화율 및 cMMO 활성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여러 가지의 유입부 TCE 농도에서 운전한 결과 80 mol/L의 고농도까지 처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TCE를 포함한 기체의 유속을 변화시켰을 때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낮은 유속(50~200 mL/min)에서는 직선적으로 TCE를 분해속도 및 전화율이 증가하다가 높은 유속(200~600 mL/min)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TBR의 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20℃의 낮은 온도에서 30℃의 높은 온도보다 TCE 전화율 및 분해속도가 증가되어 TBR에서의 TCE 분해반응이 물질전달 저해를 받음을 알 수 있었다. CSTR에서의 희석속도가 낮으면 TCE 분해속도와 전화율의 감소 및 sMMO 활성 저하 현상이 일어남을 관측할 수 있었고, TBR에서 TCE 분해 과정에서 불활성화된 sMMO 및 세포 활성을 효과적으로 재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CSTR의 희석속도를 높이 유지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약 270일 이상의 운전기간 동안 운전조건을 다양하게 변경시켜도 매우 안정되게 시스템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고, 최고분해속도는 525 mg TCE/Lㆍday 정도로 높아 개발된 2단계 CSTR/TBR 시스템의 우수성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균주 및 배양조건
  세포 농도의 측정
  MM0(Methane monooxygenase) 효소의 활성 측정
  TCE의 분석
  기체 시료의 분석
  생물반응기 접종 및 배양조건
  반응기 디자인
 결과 및 고찰
  2단 생물막 반응기 운전
  유입부 TCE 농도에 따른 영향
  배양액 순환속도 영향
  기체유속의 영향
  TBR 온도 영향
  CSTR 희석속도의 영향
  2단계 CSTR/TBR 시스템 성능 평가
 요약
 감사
 참고문헌

undefined

저자정보

  • 최영범 Choe, Yeong-Beom.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이은열 Lee, Eun-Yeol.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식품공학과
  • 박성훈 Park, Seong-Hun.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