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무혈청 배지에서 계대배양한 비적응 CHO (Chinese Hamster Ovary) 세포의 증식력 개선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Improvement of Proliferation Capacity of Non-adapted CHO Cells Subcultured Using Serum Free Media in Long-term Culture

이승선, 이진성, 변순휘, 박홍우, 최태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imal cell culture industry has a large market and an exponential growth rate among biological industry field. Chines hamster ovary (CHO) cells are the most widely used cell lines for recombinant protein production. They can avoid infection from polio, herpes, hepatitis B, HIV, measles, adenovirus and etc. Moreover it is easy to transfection recombinant genes and
possible to suspension culture. Serum free medi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protein production. Because serum has problems. Serum is not defined the contents until now, it has a number of proteins, lipids, carbohydrates and unknown molecules that cause of risk involve in infection and high cost of product purification. CHO cell line cultured using serum free media were the basis of a very successful method to produce (glyco-)protein in mammalian cells, which are then used as pharmaceutical products. Also, the low protein content of the developed medium facilitates downstream processing and product purification. But non-adapted CHO cells have a limit of proliferation cultured using serum free media and it takes very long time to adapt non-adapted cells to serum free media. There are a number of causes of a limit of proliferation
using serum free media. Absence of growth factors and growth stimulating molecules is a major factor of the reasons. It makes growth signals and moves cell cycle. And increase of cellular stress is another reason. It induces increase of intraceullar ROS concen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improvement of proliferation capacity of non-adapted CHO cells cultured using serum free media without adaptation proces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CHO 세포를 이용해 세포를 별도의 적응기간 없이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세포의 증식이 중단되는 원인을 찾고 배지 첨가 성분을 통해 이를 개선하고자 했다.
현재 개발된 무혈청 배지는 아직까지 혈청을 대체할 만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때문에 무혈청 배지에 적응되지 않은 비적응 세포의 경우 계대 배양에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가 나타나는 원인은 다양할 것으로 생각이 되지만 혈청의 부재로 인해 세포가 받게 되는 스트레스와 그로인한 세포주기의 정지가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생각된다.
무혈청 배지에서 세포가 받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알아보고 배양 환경과 첨가물에 따른 ROS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배지와 세포의 ROS 농도를 측정하였다. ROS 농도를 측정한 결과 무혈청 상태에서 세포내 ROS가 엄청난 양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혈청이 항산화능력을 갖고 있어서가 아니라 세포가 무혈청 환경에서 극심한 스트레스상태에 놓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듯 증가한 ROS가 세포의 증식이 멈추게 되는 원인 중 하나로 생각되고,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도 증식력이나 ROS의 농도에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근본적으로 혈청과 같은 강력하게 증식을 촉진하는 성분을 배지에 첨가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ROS 이외에 세포의 증식이 멈추는 또 다른 원인으로 세포사멸의 여부를 확인했다.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한 적응세포와 비적응 세포 모두 특별한 세포사멸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무혈청 배지에서 증식이 멈춘 세포를 회수해 다시 혈청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곧바로 증식력이 회복되기 때문에 대규모의 세포사멸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위와 같은 현상들은 모두 혈청이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혈청을 대체할 수 있는 첨가물을 배지에 더해주면 세포의 증식이 개선될 것이다. 그래서 몇 가지 첨가물을 이용해 세포의 증식력에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첨가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IGF-I의 경우 장기간 배양에서 세포의 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계대 횟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IGF-I이 어느정도 세포의 증식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무혈청 배지에서 비적응 CHO 세포의 계대 배양에 한계가 있는 것은 세포주기가 멈추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주기가 멈추는 growth factor와 같이 세포의 증식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무혈청 배지에서는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IGF-I과 같은 첨가물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고 여겨진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세포주 및 세포배양
  실험 재료
  ROS 측정
 결과 및 고찰
  무혈청 배지에서 비적응 CHO 세포의 증식 한계
  혈청 농도에 따른 CHO 세포의 증식력 차이
  배지내 ROS 농도 측정
  세포내 ROS 농도 측정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승선 Seung-sun Lee. 건국대학교 미생물 공학과
  • 이진성 Jin-sung Lee. 건국대학교 미생물 공학과
  • 변순휘 Soon-hyu Byun. 건국대학교 미생물 공학과
  • 박홍우 Hong-woo Park.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태부 Tae-boo Choe. 건국대학교 미생물 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