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CHO 세포의 동결보존

원문정보

Cryopreservation of CHO Cell using Serum-Free Media

김유강, 박홍우, 최태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routine maintenance, animal cell lines are commonly cryopreserved in growth medium containing serum with 10% DMSO. But, in case of bioprocess under the serum-free conditions, including cultivation of cell lines and producing of pharmaceuticals, the cryopreservation should be executed without serum to prevent a cross-contamination. This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rum-free cryopreservation on the CHO cells. To improve the survival rates of the cryopreserved CHO cells in serum-free condition, first, the effects of permeable and non-permeable additives for substitute serum on cell viability were investigated. The combination of 10% DMSO and 0.03 M raffinose in MEM-α without serum indicated 76% of cell viability. However, it did not reach the survival rates (more than 95%) of the conventional
cryopreservation. In the second, to evaluate the cryopreservative ability of the serum-free medium (SFM) we compared viability of the CHO cells cryopreserved in the SFMs (Sigma C5467, C4726, and C1707, JBI SF486 and PF486), the cryoprotectant (Genenmed CAN-1000) and the MEM-α with serum. All solution contained 10% DMSO.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cryopreserved cells in the SFMs showed over 95% of viability and appeared predominant viability better than cryoprotectant CAN-1000. Finally, we assessed the stability of the CHO cells in the long-term cryopreservation (LTC) using SFM. Every three months, the cryopreserved CHO cells were thawed to estimate the cell viability and the recovery rates.
Then, real-time RT-PCR analyzed the inserted CHO DHFR gene. All results for the LTC appeared the same stability as the serum containing cryopreservation. In the conclus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LTC in the SFM can substitute for serum using methods in the bioprocess proceeded by CHO cells for more than 18 months.

한국어

일반적인 세포주의 동결보존은 혈청이 첨가된 배양배지에 10% DMSO를 첨가하여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무혈청 환경에서 배양되는 세포주를 이용하여 생물의약품을 생산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세포주의 경우는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동결보존 역시 혈청을 제거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본 실험은 무혈청 동결보존이 CHO 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우선, 무혈청 동결보존에서 세포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투과성 및 비투과성 첨가제를 배지에 첨가하는 방법으로 동결보존 및 해동하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 DMSO와 0.03 M raffinose를 동시에 첨가한 경우에 76%의 생존율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기존의 혈청을 이용하는 동결보존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두 번째로 무혈청 배지의 동결보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중인 무혈청 배지와 무혈청 동결보존제를 사용하여 동결 보존 후의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혈청 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과 유사한 95% 이상의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무혈청 동결보존제의 동결보존 능력보다 우수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장기간 동결보존에서 CHO 세포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무혈청 배지로 동결보존된 CHO 세포를 3개월 단위로 해동하여 생존율 및 성장 회복율을 측정하고, real-time RT-PCR을 통해 삽입된 CHO DHFR 유전자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혈청배지와 비교할 때, 생존율과 성장 회복율, 유전자 안정성 측면에서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여,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18개월 이상의 동결보존이 안정적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생물의약품 공정에서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이 혈청을 이용한 동결보존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세포주 및 세포배양
  혈청이 동결보존에 미치는 영향
  다양한 동결보존 첨가제와 동결보존 용액, 무혈청 배지에대한 비교
  다양한 세포주에 대한 무혈청 배지의 동결보존 능력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장기간 동결보존의 안정성
  RNA 분리
 결과 및 고찰
  혈청이 동결보존에 미치는 영향
  동결보존에서 혈청을 대체하기 위한 첨가제의 이용
  무혈청 동결보존제와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동결보존
  무혈청 배지를 이용한 장기간 동결보존의 유전적 안정성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유강 Yoo-kang Kim. 건국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박홍우 Hong-woo Park.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태부 Tae-boo Choe. 건국대학교 미생물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