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단보

Paclitaxel 전처리를 위한 마이셀 공정에서의 계면활성제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surfactant on the micelle process for the pre-purification of paclitaxel

전금영, 김진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icelle process was developed for pre-purifying paclitaxel from plant cell cultures of Taxus chinensis, giving a high purity
and yield. The approach in this work was to transfer paclitaxel in the crude extract to an aqueous surfactant solution as a
micelle, allowing organic solvents to be used for removal of lipids and non-polar impurities. In this work, the effects of various
surfactants such as CPC, CTMAC, LTMAC, SDS, AOT, Tween, PEG, and Triton were examined on the yield, purity, and
phase separation time in micelle process. Among these surfactants, CTMAC (5%, w/v) gave the best result in terms of
paclitaxel yield (~99%), purity (~21%), and phase separation time (30 min). The use of micelles in the pre-purification process
allows for rapid and efficient separation of paclitaxel from interfering compounds and dramatically increases the yield and
purity of crude paclitaxel for subsequent purification step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식물세포배양으로부터 항암제 paclitaxel 정제를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 계면활성제 (surfactant)를 이용한 마이셀(micelle) 공정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마이셀 공정에서의 계면활성제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이셀은 친수성 그룹과 소수성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어 마이셀 내부로는 물에 녹지 않는 paclitaxel을 소수성 그룹이 감싸게 되고 외부는 친수성 그룹이 되어 수용액에 용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물세포인 biomass로부터 유기용매 추출액을 건조하여 상 분리에 적합한 유기용매에 녹인 후 마이셀 형성에 적합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정체시키면 물에 녹지 않는 paclitaxel이 마이셀 내부의 소수성 그룹에 감싸여 수용액 상로 이동하고 paclitaxel을 제외한 여러 가지 불순물들 (특히 lipid 성분들)은 유기용매 상에 그대로 존재하게 되어 paclitaxel과 불순물들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분리 및 정제에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양이온(CPC, CTMAC, LTMAC), 음이온 (SDS, AOT), 비이온 (Tween, PEG, Triton) 계면활성제의 영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TMAC (5%, w/v)을 이용한 마이셀 공정에서 가장 높은 수율 (~99%)과 순도 (~21%)를 얻었으며 또한 마이셀 형성 후 상 분리에 30 min 정도 소요되어 가장 단시간에 상 분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전처리 공정에서의 마이셀 형성 및 상 분리 방법은 불순물로부터 효과적으로 높은 순도의
paclitaxel을 고수율로 회수할 수 있어 최종 정제를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식물세포 배양
  Paclitaxel 분석
  시료제조 및 마이셀 공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전금영 Keum-Young Jeon. 공주대학교 화학공학부
  • 김진현 Jin-Hyun Kim. 공주대학교 화학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