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Fibrin 용해 균주의 분리 및 특성

원문정보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um with a Fibrinolytic Activity

정용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bacterium having strong fibrinolytic activity, S7-16 strain, was isolated from soil. The isolated bacterium was identified and named as Bacillus sp. S7-16. The optimal composition of the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by Bacillus sp. S7-16 was 0.5%(w/v) polypeptone, 0.5%(w/v) yeast extract, 0.3%(w/v) NaCl, 0.1% (w/v)KH2PO4, ).3%(w/v) K2PHO4, and 0.01%(w/v) MgSO4. 7H2O . The optimal temperature and initial pH of the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the enzyme were 35℃ and 7.0, respectively. The maximum production of the fibrinolytic enzyme was obtained after 24 hours of the incubation.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culture supernatant had strong fibrinolytic activity. Within pH4~11, the crude fibrinolytic enzyme was stable. The enzyme was stable up to 50℃.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the enzyme activity were around 7.5 and 40℃, respectively.

한국어

혈전 용해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탐색하기 위하여 장류 및 토양사료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여 그 중 fibrin 용해활성이 높고 기질특이성이 우수한 S7-l6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미생물은 Gram 양성의 간균으로 운동성이 있고, catalase 양성이었으며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BClcilius sp. S7-16으로 명명하였다. cill sp S7-16의 효소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0.5% (w/v) polypeptone, 0.5% (w/v) yeast extract, 0.3% (w/v) NaCI, 0.l%(w/v) KH2PO4, 0.3% (w/v) KH2PO4, 0.01% (w/v)MgSO4.7H2O (pH7.0)의 배지조성하에서 애서 180 rpm으로 24시간 회전진탕배양하였을 때 fibrin 용해효소 생산이 최대를 보였으며, 이때 casein 용해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Fibrin 용해효소의 효소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이 조건하에서 얻어진 배양상동액에 20~60% ammomum sulfate 분획침전을 행하여 조효소액을 조제하였으며, 얻어진 조효소액은 pH4~11의 범위에서 안정하였으며,50℃ 까지 비교적 활성이 유지되는 열안 정성을 보여주었다. 조효소액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7.5, 40℃부근에서 최적활성을 보였다.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시료
  균주의 분리
  Fibrin 용해활성 미생물의 선별
  Fibrin 용해활성 측정법
  단백질 용해활성 측정법
  균주의 동정
  Fibrin 용해효소 생산을 위한 조건의 검토
  조효소액의 조제
 결과 및 고찰
  활성미생물의 선발 및 동정
  탄소원의 영향
  질소원의 영향
  Yeast extract의 영향
  배양 초기 pH의 영향
  배양온도의 영향
  배양시간에 따른 효소생산성의 변화
  조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조효소의 열안정성
  조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조효소의 pH에 대한 안정성
 요약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용준 Yong-Joon Chung. 전주대학교 이공대학 생명과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