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5-FU 함유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 제조

원문정보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Containing 5-FU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정주희, 정인일, 주현재, 신재란, 임교빈, 유종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obtain maximal efficacy with minimal systemic side-effect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achieve the controlled release of 5-fluorouracil (5-FU). In this study, biodegradable poly(L-lactide) (L-PLA) microparticles containing 5-FU were prepared by a process, called aerosol solvent extraction system (ASES), utiliz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he effects of
various organic solvents, drug/polymer feeding ratio, polymer molecular weight, and blending with the same polymer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n the formation of 5-FU loaded microparticles were investigated under a predetermined operating condition from our previous study. The drug recovery, entrapment efficiency, and in vitro drug release kinetics were
determined by HPLC assays. The drug recovery obtained from the ASES process was found to be very high, whereas the drug entrapment efficiency was considerably low in all the experiments due to the poor affinity between L-PLA and 5-FU.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cipitation rate of L-PLA might be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5-FU so that there was little
chance to form 5-FU loaded L-PLA microparticl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뛰어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매우 짧은 반감기로 인한 많은 투약 빈도수와 이로 인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5-FU의 부작용을 줄이고 투약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자 생분해성 고분자인 L-PLA에 약물이 봉입된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으로는 기존의 미립자 약물전달체 제조 공정
의 문제점을 상당 부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공정으로 주목받고 있는 초임계 ASES 공정을 사용하였다. 고분자의 분자량 및 분자량이 다른 동일한 고분자와의 블렌딩, 용매, 약물 투입량 등의 변수가 미세입자의 형성과 약물의 회수율, 봉입효율 및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초임계 유체 공정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5-FU와 L-PLA의 용매로 각각 MeOH와 DCM을 사용한 경우 가장 좋은 결과가 얻어졌으며, L-PLA의 분자량이 큰 경우 구형의 입자가 생성되었으며 입자의 크기도 작은 결과가 나타났다. 모든 실험에서 약물의 봉입효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5-FU와 L-PLA의 매우 낮은 친화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약물과 고분자 간의 재결정화 속도의 차이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가가 약물 봉입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약물의 봉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향후 초임계 공정의 공정변수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연구와 약물과 고분자간의 친화력을 높여 일 수 있는 첨가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미세입자 제조
  입자 형태 및 크기 측정
  미세입자 내 5-FU 봉입률 측정
  약물 방출 시험
 결과 및 고찰
  용매의 영향
  약물/고분자 투입비의 영향
  고분자 분자량의 영향
  고분자 블렌딩의 영향
  In vitro 약물 방출 특성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주희 Ju-Hee Jung.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 정인일 In-Il Jung.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주현재 Hyun-Jae Joo.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 신재란 Jae-Ran Shin.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 임교빈 Gio-Bin Lim.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 유종훈 Jong-Hoon Ryu.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