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전기화학적 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BOD 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a Biosensor Using Electrochemically-Active Bacteria (EAB) for Measurements of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윤석민, 최창호, 권길광, 정봉근, 홍석원, 최용수, 김형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biosensor using electrochemically-active bacteria (EAB) enriched in three-electrode electrochemical cell, was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in wastewater. In the electrochemical cell, the positively poised working electrode with applying a potential of 0.7 V was used as an electron acceptor for the EAB.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artificial and raw wastewater showed that the current pattern generated by the biosensor and its Coulombic yield were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in wastewat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BOD vs Coulombic yield and BOD5 vs Coulombic yield were 0.99 and 0.98,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iosensor enriched with the EAB capable of transferring electrons directly toward the electrode can be utilized as a water-quality monitoring system due to a quick and accurate response.

한국어

본 연구는 3-전극계와 전기화학적 활성미생물 (EAB)을 이용한 BOD 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개발에 대한 것이다. 바이오센서의 측정능력 조사를 위하여, 인공폐수 및 실제폐수가 사용되었다. 폐수 시료의 유입조건은 유입속도 2mL/min, 유입시간 10분, 유입간격은 50분으로 설정하였고, EAB의 전자수용체로 정전압이 적용된 작업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정전압기 (potentiostat)를 이용하여 +0.7 V를 인가하여 주었다. 인공폐수와 실제폐수를 이용한 BOD 측정의 정확성 분석결과, BOD 변화에 대해 발생전류 역시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각 0.99 및 0.98의 높은 상관계수 (BOD vs. Coulombic yield, BOD5 vs. Coulombic yield)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BOD (혹은 BOD5) 변화에 대한 반응시간은 30분 이내로 확인되어 실시간 측정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EAB 및 3-전극계를 이용한 폐수의 BOD 측정용 센서의 구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EAB 농화배양용 슬러지 및 폐수시료의 준비
  3 전극계 적용 BOD 센서
  EAB의 농화배양
  BOD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측정 및 분석
 결과 및 고찰
  EAB의 농화배양 및 확인
  인공폐수 및 실제폐수를 이용한 BOD 측정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윤석민 Seok-Min Yoon.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 최창호 Chang-Ho Choi.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 권길광 Kil Koang Kwon.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 정봉근 Bong-Geun Jeong.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 홍석원 Seok-Won Hong.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최용수 Yong-Su Choi.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김형주 Hyung-Joo Kim.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