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수직 흐름 제올라이트 갈대 여과상에 의한 생활하수 처리

원문정보

Vertical Flow Zeolite-Filled Reed Bed with Intermittent Feeding for Sewage Treatment

서정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ewage was treated using a vertical flow zeolite-filled reed bed. The sewage from the student dormitory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was fed into the reed bed for 10 minutes every 6 hours at the hydraulic load of 314 L/㎡․day. The filtering height of the reed bed was 100 ㎝ and the zeolite mixture was filled in the reed bed. The mixture consisted of the same volume of two types of zeolite ; 0.5~1 ㎜ and 1~3 ㎜ in diameter. Annual average removal efficiency was SS 89.9%, CODCr 86.1%, CODMn 81.2%, T-N 34.0%, NH4 +-N 97.3% and T-P 34.6%. T-N of effluent was mostly NO3--N and the concentration of NO2--N in effluent was lower than 0.1 mg/L. All removal efficiencies did not show a remarkable seasonal change. The ranking of phosphorous fractions fixed to the zeolite in column test was Ca-P 〉Fe-P 〉reductant soluble Fe-P〉occluded P 〉saloid P 〉Al-P at all depths of the filter. All phosphorous fractions except for Al-P reduced at deeper filter layer, while their content ratios increased at deeper filter layer. Organic matter content was the highest at the highest layer(0~5 ㎝ from the top of the filter) and only small differences were observed at the deeper filter layer than 5 ㎝ from the top. Organic matter content increased at all depths of the filter with the operating time.

한국어

제올라이트로 충진된 수직 흐름 갈대 여과상에 인공하수를 주입하면서 처리효율을 조사하였다. 여과상 표면적 ㎡당 1일 314 L의 인공하수가 6시간마다 10분 동안 간헐적으로 주입되었다. 처리수의 pH는 원수보다 감소하였으며, 용존산소 농도는 원수보다 증가하였다. 수직 흐름 여과상에서 각 항목별 연중 평균 처리효율은 SS 89.9%, CODCr 86.1%, CODMn 81.2%, BOD 93.3%, T-N 34.0%, NH4 +-N, 97.3%,T-P 34.6%이었다. 처리수 중 T-N의 대부분은 NO3--N이었으며 NO2--N의 농도는 0.10 ㎎/L 이하이었다.
처리효율의 계절적 차이는 없었다. 수직 흐름 칼럼실험에서 여재인 제올라이트에 흡착된 인의 형태별 함량은 모든 깊이에서 Ca-P 〉Fe-P 〉환원가용성 Fe-P 〉Occluded p 〉Saloid P 〉Al-P 순이었다. 여과상 깊이별 Al-P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인화합물의 함량은 위층일수록 높았으며, 함량 비율은 깊이가 깊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유기물 함량도 상층 (0~5 ㎝ 깊이)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하의 깊
이에서는 별 변화가 없었다. 가동기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깊이에서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하수
  실험장치
  운전조건
  수질 분석 및 투수계수 측정방법
 결과 및 고찰
  pH 변화
  DO 변화
  SS 변화
  COD 변화
  BOD 변화
  여과상 높이별 유기물 함량 변화
  질소 변화
  T-P 변화
  여과층에 흡착된 형태별 인의 함량 변화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서정윤 Jeoung-Yoon Seo.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