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Nyare Forskning om Andraspråksinlärning i Sverige

원문정보

제2언어 학습 (second language learning)에 관한 스웨덴의 최근 연구

Hyeon-Sook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스웨덴을 비롯한 여러 서구 국가에서 제2언어 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가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최근 스웨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제2언어 학습에 관련된 중요한 세 연구 분야를 소개하는 것이다. 첫 번째 분야는 제2언어 학습과 상호작용 (interaction)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분야로 학설에 의하면 제2언어 학습자들이 자신의 언어 사용을 관찰, 분석하기 위해서 다른 학습자들과 상호작용을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Lindberg (2000)의 연구에 따르면 제2언어 학습자들 간의 소그룹 상호 협력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예를 들면, 학습 언어의 형태 (즉 문법)에 더욱 주목하게 하며 또한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을 관찰,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고 한다. 두 번째 분야는 제2언어 학습의 최적 시기의 유무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 분야의 학자들에 의하면 정해진 연령 (예를 들면 사춘기) 이전에 새로운 언어를 학습할 경우에만 원어민과 같은 언어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한다. 스웨덴어가 제2언어인 성인 학습자들의 스웨덴어 언어능력을 연구한 Hyltenstam & Abrahamsson은 제2언어 학습자들은 제1언어 학습자들과 같은 언어수준에 도달할 수 없다고 한다. 이들의 연구에 의하면 유아기에 스웨덴어를 학습한 제2언어 학습자들에게서도 제1언어 학습자들에게서 찾아 볼 수 없는 (제2언어 학습자들만의) 특징들이 나타난다고 한다. 마지막 분야는 제2언어 학습과 제1언어 학습을 비교하는 연구 분야이다. Håkansson (2000)은 스웨덴어가 각각 제1언어와 제2언어인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 학습자들이 동일한 언어 발달 단계를 거쳐 스웨덴어를 학습하게 되는가를 조사하는 연구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제2언어 및 제1언어 학습자들이 유사한 형태학 발달 단계를 보이나 문장 순서 발달 단계의 경우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제2언어 학습자는 문장순서 발달이 단계적으로 진행되나 제1언어 학습자는, 예를 들면 주어가 아닌 부사어구로 문장이 시작되는 경우 ‘부사어구+주어+동사’의 순서를 거치지 않고 바로 문장을 도치 (즉, ‘부사어구+동사+주어’) 한다는 것이다.

목차

1. Forskning om interaktionens betydelse för andraspråksinlärning
 2. Startålderns betydelse för andraspråksinlärning
 3. Jämförelser mellan förstaspråksinlärning ochandraspråksinlärning
 4. Sammanfattning
 Litteratur
 <국문요약>

저자정보

  • Hyeon-Sook Park Associate professor vid Inst. för skandinaviska språk,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Syd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