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Hybridoma 배양을 위한 저혈청 배지의 개발 제1부 : 혈청 역할모델을 이용한 혈청 성분의 역할 연구

원문정보

Development of Low-serum Medium(LSM) for Mouse-mouse Hybridoma Part I. A Study of the Role of Serum Components Using a Serum Model

제훈성, 최차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model for the role of serum was proposed to develop a low serum medium for the large scale cu1ture of mammalian cell. The strategy of medium development adopted in this study facilitated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being carried out by the serum in the culture of hybridoma KAl12 cell line. In this model, the serum components were divided into two main groups : the first group encompasses the nutrie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maximum cell density and the second group includes the growth factors that regulate the cell growth rate, The model prediction w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odel enabled us to find out several useful aspects of medium composition for cell growth. 1) One particular component in the basal medium became limiting factor when serum concentration level was more than 7%. 2) The growth regulating factors and nutrient factors limited the cell growth at 3% and 5% serum concentration levels respectively.

한국어

동물세포 대량 배양의 저혈청 배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융합제작한 하이브리도마 KA112를 대상으로 혈청의 역할을 살펴본 다음, 혈청의 구성인자를 최고세포 농도를 결정하는 소모성 영양인자와 세포성장속도를 결정하는 성장 제어인자로 나눈 혈청 역할모델을 개발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이 모델이 의하면 7%이상의 혈청 첨가시에는 혈청내의 소모성 인자가 그와 같은 역할을 맡게 되며, 3% 첨가시에는 성장 제어 인자의 고갈로 인해 세포성장속도가 제한을 받는다. 동시에 소모성 단일 인자가 혈청농도에 의하여 limiting하게 됨에 따라 최고 도달 세포 농도와 세포 성장 속도를 제어함을 설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은 혈청농도와 기저배지 성분들의 농도를 항상 균형있게 고려해 주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ABSTRACT
 서론
 실험방법 및 재료
  사용 세포주
  사용 배지
  세포 배양
 결과 및 고찰
  혈청의 역할 모델과 개발 접근 방식
 요약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제훈성 Hoon Sung Jeh. 럭키바이오텍중앙연구소
  • 최차용 Cha Yong Choi.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