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Who's at Risk of Digital Divide? : Analysis of a U.S.-Community Data

원문정보

정보화 사회에서의 정보격차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 : 미국의 지역사회 자료의 분석

Auh, Seong-ye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e-government becomes a key concept in scholarly and policymaker dialogues about democratic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s, a new form of social inequality, digital divide app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irst level digital divide. By employing the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a representative community sample drawn from the Iowa Family Survey (n=4,002)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individuals who’s at risk of digital divide. Effects of structural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and reg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 such as perceived health and senior living alone status were significant in the models. However, the access to Internet did not differ by individual’s income or gender i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individuals at risk of digital divide such as the seniors living alone in non-metro areas or seniors who were less educated could be left behind in e-government and facing greater risk at the digital divide.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a) it might be helpful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in the society if the Practical Art Education's curriculum includes contents regarding technical defusion by children into their parents or grandparents; and (b) computer classes or computer labs at school could be the critical resources for the children from the less advantaged families to gain their digital inclusion in the society.

한국어

이 연구는 정보화 사회로 이전됨에 따라 나타나는 새로운 사회적 불평등인 정보격차에 대한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는 전자정부라고 하는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국가의 서비스를 창조하였고 전자정부 서비스는 이미 우리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그 전자정부서비스의 사각지대인 정보격차의 문제점은 최근에야 학제 간에 논의가 시작되었고, 그 위험요인에 대한 논의 역시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지역사회 자료를 (n=4,002) 다항적 로지스틱 분석을 함으로써 1차적 정보격차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령변인과 교육수준, 거주 지역, 건강상태, 그리고 독거노인의 지위, 등이 1차적 정보격차(접근성)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나이가 들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시골에 거주 할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독거노인의 경우에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반면에 선행연구와는 달리, 1차적 정보격차에 대한 성별과 경제수준에 의한 차이는 미국지역사회의 대표적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보격차의 해소 및 정보화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대상 선정의 우선권의 누구에게 부여하는가 하는 문제에 있어서 그 시사점을 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에 의한 성인세대(부모, 조부모)로이 기술력전이를 위한 실과교과 내용개발이 제안되었다. 또한 빈곤아동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학교의 컴퓨터교육 및 컴퓨터실의 중요성이 제안 되었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1. Needs and Purpose of This Study
  2. Previous Studies on Access to Internet
  3. Hypothesis
 II. Research method
  1. Subjects and Sampling Techniques
  2. Measures
  3. Analysis: Model Specification
 III. Results
  1. Demographics
  2. Access to Internet: Increasing Popularity of Internet
  3. Hypothesis Tests(Test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Models)
 IV.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Auh, Seong-yeon 어성연. Chung-A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