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연속수소생성에 사용되는 고온 CSTR 내의 미생물의 분자적 분석

원문정보

Molecular Analysis of the Microorganisms in a Thermophilic CSTR used for Continuous Biohydrogen Production

오유관, 박성훈, 안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lecular method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microorganisms in a thermophilic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CSTR) used for continuous H2 production. The reactor was inoculated with heat-treated anaerobic sludge and fed with a glucose-based medium.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showed dynamic changes of bacterial populations in the reactor during 43 days of operation. Gas composition was constant from approximately 14 days but population shift still
occurred. Populations affiliated with Fervidobactrium gondwanens and Thermoanaerobacterium thermosaccharolyticum were dominant on 21 and 41 days, respectively. Keeping pH of the medium at 5.0 could suppress methanogenic activity that was detected during initial operation period. CH4 and mcrA detected in the samples obtained from the reactor or inoculum
suggested the heat treatment condition employed in this study is not enough to remove methanogens in the inoculum. PCR using primer sets specific to 4 main orders of methanogens suggested that major H2-consuming methanogens in the CSTR belong to the order Methanobacteriales.

한국어

1. 고온 CSTR은 비교적 짧은 start-up 기간과 높은 H2 수율을 나타내었다. H2 생산속도와 H2 수율의 안정화를 근거로 판단컨대 start-up 기간은 30일 이내이었으며, 최고 H2수율은 2.4 mol H2/mol glucose이었다.
2. 비교적 긴 HRT와 침전조를 이용한 biomass의 재순환에도 불구하고, 유입 포도당의 농도가 낮아 biomass 농도는 다른 중온 반응기에서 보고된 것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
3. 운전 초기에 CH4이 발생하였으나 8일 이후부터는 pH를 5.0 이하로 유지하였더니 14일 이후로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봐서 메탄생성균이 식종균에 남아 있더라도 반응기 운전조건을 통해 CH4 발생을 억제할 수 있었다.
4. 식종 미생물과 반응기로부터 취한 시료의 DGGE band 패튼이 다른 것으로 보아 고온 CSTR 조건에서 식종된 미생물 군집의 조성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5. DGGE 분석결과 초기 43일간의 운전기간 동안에 관찰된 미생물 군집조성은 동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약 14일부터는 biogas 조성이 거의 일정하였으나 미생물 군집은 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F. gondwanens와 T. thermosaccharolyticum과 계통발생학적으로 가장 연관이 있는 개체군들이 운전 21일과 41일째에 각각 우점으로 나타났다.
6. 본 연구에서 식종 슬러지를 열처리하는데 사용한 조건은 메탄생성균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불충분하다는 것은 운전 초기에 CH4이 biogas에서 검출되었고, 식종 슬러지와 반응기로부터 취한 시료에서 메탄생성균이 가지는 mcrA 유전자가 PCR로 증폭되었으므로 알 수 있었다.
7. 메탄생성균의 주요 목에 특이적인 primers를 사용하여 PCR을 실시한 결과 식종슬러지에 있는 메탄생성균들은 주로 Methanosarcinales와 Methanomicrobiales 목에 속하였으며, CH4이 발생했던 때의 반응기에 있는 메탄생성균들은 주로 Methanobacteriales 목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CSTR 운전
  분석방법
  DNA 추출
  PCR
  DGGE 분석
 결과 및 고찰
  반응기 성능
  Biomass 농도
  미생물 군집조성의 동적 변화
  유전자 mcrA를 이용한 메탄형성균의 분석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메탄형성균의 분석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유관 You-Kwan Oh. 부산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부산대학교 환경기술산업개발연구센터
  • 박성훈 Sunghoon Park. 부산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부산대학교 환경기술산업개발연구센터
  • 안영희 Yeonghee Ahn.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