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탄소원과 질소원의 무게비가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성장 및 지방산 조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Weight Ratio of Carbon Source to Nitrogen Source on the Growth and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of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

김원호, 박승혜, 송상규, 배천순, 허병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ffect of the weight ratio of carbon source to nitrogen source on the growth and the composition change of fatty acids of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 was investigated. The cell concentration of 5 days' culture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N. The ratioes for the maximum biomass were unique respectively and distributed
between 1 and 4 with the initial sugar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5 g/L to 25 g/L. The biomass yield, Yx/s de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e of C/N, but maintained a constant value 0.35 between 10 and 20. The composition of myristic acid (C14:0), one component of the lipid synthesized by T. aureum, was not affected with the change of C/N, but the composition
of palmitic acid (C16:0) was around 20% below 4 of C/N and decreased to 15% according to C/N about 4. The compositions of oleic acid (C18:1) and linoleic acid (C18:2) increased from 0 to 20% and 7% respectively. The composition of γ-linoleic acid (C18:3), however, reduced from 5% to 2%. EPA (C20:5) and DPA (C22:5) showed a tendency of reduction in the weigh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N, but DHA (C22:6) had a trend maintaining an approximately constant value, around 40%, irrespective of the change of C/N.

한국어

탄소원과 질소원의 무게비가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성장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초기 당농도에 관계없이 배양 5일 후의 균체농도는 C/N 값이 증가하면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각 초기 당농도에 따라서, 균체농도가 최대가 되는 C/N의 비는 각기 고유한 값을 나타내었다. 초기 당농도 5 g/L 내지 25 g/L 범위내에서 균체농도가 최대가 되는 C/N 값은 1 내지 4 사이에
분포하였다. C/N 비에 따른 균체수율 Yx/s의 값은 C/N의 값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나 10 내지 20 사이의 범위에서는 0.35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T. aureum ATCC 34304가 생합성하는 포화지방산인 미리스트산의 조성은 C/N 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팔미트산의 조성은 C/N 값 4 이하에서는 20% 내외의 값을 나타내었고 C/N 값이 증가하면 15%까지 감소하였다. 탄소수사 18개인 C18:의 지방산 중 올레인산 (C18:1)과 리놀레인산 (C18:2)의 조성은 C/N 값이 증가하면 0%에서 각각 20% 및 7%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γ-리놀레인산 (C18:3)의 조성은 C/N 값의 증가에 따라 5%에서 2%까지 감소하였다. 탄소수가 20개 이상인 ω - 3 다중불포화 지방산 중 EPA (C20:5)와 DPA (C22:5)의 조성은 C/N 값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HA (C22:6)조성은 C/N 값이 증가하더라도 40% 내외의 값을 유지하였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균주
  배지조성
  배양조건
  시료의 분석
 결과 및 고찰
  탄소원과 질소원의 무게비가 균체량 증가에 미치는영향
  탄소원과 질소원의 무게비가 포화지방산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탄소원과 질소원이 무게비가 C18 지방산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탄소원과 질소원의 무게비가 C20:5, C22:5 및 C22:6의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원호 Won-Ho Kim.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생명화학공학부
  • 박승혜 Seung-Hye Park.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생명화학공학부
  • 송상규 Sang-Kyu Song.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생명화학공학부
  • 배천순 Kyung-Dong Bae. 녹십자백신 백신연구소
  • 허병기 Byung-Ki Hur.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생명화학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