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질량 분석기를 이용한 트랜스아미나제 반응 분석을 위한 케토산 화학 수식법 개발

원문정보

Derivatization of α-ketoacid for the Analysis of Aminotransferase Reaction Using Mass Spectrometry

이창수, 김윤곤, 김은미, 김병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derivatization method in mass spectrometry for small molecular analysis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volatility of many analytes, difficult ionization of analytes, and undiscriminating isobaric analytes. This derivatization method, oximation of α-ketoacid, in the transaminase reaction leads to change of mass difference between amine reactants and ketoacid
products.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kinds of ketoacid,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intensity and its concentration (from 1 mM to 10 mM) shows that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nversion of the reaction can be executed by the analysis of peak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oximated ketoacids. Furthermore, this method can be used for identifying
transaminase as well as determining its substrate specificit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고속 탐색 발굴의 핵심으로 사용되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저 분자랑 생화학 물질을 분석할 경우의 문제점들인 고 휘발성, 이온화의 어려움, 그리고 동중 원소분석 문제를 유도체화 반응을 통하여 기존의 분석 방법보다 효율적이며 신속한 분석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고속 탐색발굴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특히, 트랜스아미나제 반응분석 시 문제가 디는 케토산을 옥심 유도체화 반응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질량 차이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또한 생성된 유도체는 질량 분석기를 통하여 케토산 1 mM부터 10 mM내에서 정량화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 방법을 통하여 트랜스아미나제 효소 반응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효소의 기질특이성을 한번에 쉽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응용되었다.
또한, 사용된 효소의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매우 간편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이 방법은 기존의 질량분석기의 응용 범위를 다양한 저 분자량 물질 분석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도체화 반응은 반응 용액을 가지고 직접 반응하고 매우 쉽게 구현이 가능하여 효율성과 분석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 이 방법을 통하여 동 중량체 (isobaric compounds)의 저 분자량을 질량 차이를 유도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특정 효소의 기질 특이성 및 그 효소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지의 효소에 대한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까지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 질량 분석기 방법
  전극분무 이온화 질량 분석기 (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방법
 결과 및 고찰
  케토산의 옥심화 유도체 반응 (Oximation for α-ketoacid)
  전극 분무 이온화 질량분석기 (ESI-MS)를 이용한 정량분석
  아스파틱산 트랜스아미나제 기질 특이성 분석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창수 Chang-Soo Lee.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응용화학부
  • 김윤곤 Yun-Gon Kim.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응용화학부
  • 김은미 Eun-Mi Kim.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응용화학부
  • 김병기 Byung-Gee Kim.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응용화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