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Colonic Delivery를 위한 펙틴 비드로부터 Colonic Delivery를 위한 펙틴 비드로부터 BSA의 방출 특성

원문정보

Release Properties of BSA from Pectin Beads for Colonic Drug Delivery

최춘순, 박상무, 송원현, 이창문, 이기영, 김동운, 김진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ral drug delivery system using pectin gel was developed for colon-targeting of peptide drug. BSA(bovine serum albumin)-loaded pectin and pectin-alginate beads were prepared for drug release properties in vitro. Morphological studies by electron microscopy indicated that pectin and pectin-alginate beads were spherical in shape and approximately 1.0 mm. In order to find the suitable beads, effects of cross-linking agents (calcium chloride or zinc acetate) and drying temperature of beads were investigated. Drug release decreased with concentration of cross-linking agents and drying temperature. For colonic drug delivery from pectin and pectin-alginate beads, pectin degradable enzymes were added at 5 hrs from the beginning of drug release. After addition of enzymes, drug release was suddenly increased against free enzymes. Therefore,
pectin and pectin-alginate beads can be promised as useful drug release carriers for colon-targeted delivery.

한국어

경구 투여가 비교적 어려운 단백질 약물을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생분해성을 가진 펙틴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colon 에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온결합을 통해 펙틴, 펙틴-알긴산 비드를 제조할 수 있었고, 단백질 약물인 BSA를 포함하여 방출을 행한 결과, 비드의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방출률이 높은 경향을 보인 반면, 동결건조된 비드가 가장 높은 방출을 나타냈다. 또한, 가교제의 농도를 높게 처리한 비드일수록 방출률이 낮았다. 경구 투여 후 colon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5시간 후에 펙틴 분해효소를 처리한 결과, 효소 처리하지 않은 비드에 비해 급격한 방출이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로 colon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펙틴 비드에 포함된 약물이 방출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구로
투여된 펙틴 비드 안의 약물이 소화기관에서 안정하게 통과하고 colon에서 방출되어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시약
  BSA를 포함한 펙틴비드 제조
  BSA를 포함한 펙틴-알긴산 비드 제조
  전자현미경을 통한 비드의 관찰
  비드에 포함된 BSA의 농도 측정
  비드의 건조 온도와 가교제 농도, 알긴산 첨가에 따른BSA 방출 특성
  효소처리에 의한 BSA 방출 특성
 결과 및 고찰
  BSA를 포함한 비드의 제조와 관찰
  비드의 건조 온도에 따른 BSA의 방출
  가교제의 농도에 따른 BSA의 방출
  효소처리에 의한 BSA의 방출 특성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춘순 Choon-Soon Choi. 광주보건대학 식품생명공학과
  • 박상무 Sang-Mu Park. 전남대학교 의공학협동과정
  • 송원현 Won-Hyun Song. 전남대학교 의공학협동과정
  • 이창문 Chang-Moon Lee. 전남대학교 의공학협동과정
  • 이기영 Ki-Young Lee. 화학공학부 및 촉매연구소
  • 김동운 Dong-Woon Kim. 광양보건대학 보건위생과
  • 김진철 Jin-Chul Kim.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