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식물유래 추출물(FGF271)의 여성호르몬 대체 효과

원문정보

Effect of Plant Extract (FGF271) on Estrogen Replacement

김재수, 박준홍, 조한성, 박점석, 홍억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certain group of phytochemicals such as isoflavone have been proven to act as a phytoestrogen. After thorough the study of different bibliographic herbs excluding soybeans, dates, pomegranates, and other publicized plants, three different edible herbs by Korean Food Regulation were extracted for the animal study on the effect of estrogen replacement. The herbal extract(FGF271) has been orally administered into 51 weeks old partial ovariectomized rats for
5 weeks with the different dosages of 100 and 1,000 mg/kg, respectively. It was observed that 1) serum estrogen level was increased in both 100 and 1,000 mg/kg group, 2) the distension of uterus was made dose dependent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in 1,000 mg/kg group (p<0.05) from control in the gross findings, 3) the weight of uterus was increased in 1,000 mg/kg group, and 4) the action on reproductive tissues was clear in the microscopic findings in terms of hyperplasia of endometrial epithelial cell, cystic change of submucosa, dilatation of uteru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00 kg/mg), and follicular cystic changes in ovary. As a result, FGF271 seemed to act as a phytoestrogen by inducing the change in ovary and uterus and by increasing the serum estrogen concentration.

한국어

폐경기 여성들에게 있어서 에스트로겐의 결핍현상은 골다 공증, 동맥경화, 심장질환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고, 혈관 운동 불안정으로 인하여 일과성 열감과 같은 증상이 일어나며, 치매의 위험이 있다. 또한, 안면홍조, 우울증, 무력감등의 증상을 경험하는데, 식물성 에스트로겐 대체요법으로서 위와 같은 폐경기 증후군을 치유 예방 관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동물성 혹은 화학적 에스트로겐 요법에서 우려되는 유방암 및 자궁암 등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씻어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안전하면서 각종 폐경기 증후군에 대처할 수 있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대체제 (Phytoestrogen)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가장 고전적인 효과인 생식기 조직의 재생효과를 확인하였고,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의 증가도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확인된 여성호르몬 대체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 FGF271이 추가의 연구를 통해 여성들이 인생의 1/3에 해당되는 폐경기를 즐겁고 안정된 삶으로 보낼 수 있도록 되기를 바란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FGF271 추출물 제조
  FGF271의 생체내 여성호르몬 대체효과 시험
 결과 및 고찰
  일반증상 및 사망동물
  체중 변화
  혈청 estrogen 농도
  체온 및 성주기 변화
  육안적인 부검소견
  장기중량
  병리조직학적인 검사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재수 Jae Soo Kim. (주)내츄럴엔도텍
  • 박준홍 Joon Hong Park. (주)내츄럴엔도텍
  • 조한성 Han Sung Cho. (주)내츄럴엔도텍
  • 박점석 Jeom Seok Park.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홍억기 Eock Kee Hong.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