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침엽수 잎으로부터 효율적인 정유 추출법 탐색 및 정유성분 분석

원문정보

Efficient Extraction Methods and Analysis of Essential Oil from Softwood Leaves

양재경, 강병국, 김태홍, 홍성철, 서원택, 최명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the effecient extraction methods of essential oil, pretreatment of leaves, ratios of water and leaves, extraction time, and collection season from the Chamaecyparis obtusa and Chamaecyparis pisifera leaves were studi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was analyzed by GC-MS. The yield of essential oil from ground leaves was higher than
that of chopped leaves. The yield of essential oil was not affected much by mixing ratios of water and leaves. The yield of essential oil reached maximum after 5 hours. The content of essential oil of C. obtusa leaves collected during winter was 4.5%, whereas the content of essential oil of C. pisifera collected during fall was 5.3%.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orm C. obtusa and C. pisifera was different. The major constituents in the essential oil of C. obtusa were monoterpene as limonene, terpinene-4-ol, γ-selinene, and α-cedrene, and those of C. pisifera was monoterpens as α-pinene, myrcene, limonene, bornyl acetate, β- caryophyllene, longifolene, and β-cedrene.

한국어

편백나무와 화백나무의 잎으로부터 시료전처리, 물과 잎의 혼합비, 추출시간, 채취시기 등 정유 추출에 적합한 조건을 구명하고 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조성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정유추출에 적합한 전처리법으로는 믹서기로 잎을 분쇄하는 방법이 좋았으며, 증류수와 잎의 혼합비율은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증류수 1 L당 100 g의 잎을 혼합하였을 때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다. 정유추출시간은 시
간이 경과함에 따라 추출효율은 증가하였지만 탄화향이 심해 5시간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정유수율은 편백나무는 겨울이 4.5%, 화백나무는 가을에 채취한 시료가 5.3%의 높은 수율을 보였다. 편백나무정유와 화백나무정유 조성분은 차이를 보였으며, 주성분은 monoterpene류였다. 편
백나무정유의 주성분은 limonene, terpinene-4-ol, γ-selinene 및 α-cedrene였으며, 화백나무정유의 주성분은 α-pinene, myrcene, limonene, bornyl acetate, β-caryophyllene, longifolene 및 β-cedrene이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공시 수종 및 시료조제
  정유 추출조건 및 수율의 측정
  GC-MS 분석
 결과 및 고찰
  물리적 전처리의 영향
  증류수와 잎의 혼합비율의 영향
  추출시간의 영향
  계절별 영향
  GC-MS 분석에 의한 정유성분 구명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양재경 Jae Kyung Yang.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강병국 Byung Kook Kang.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김태홍 Tae Hong Kim.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홍성철 Seong Cheol Hong.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서원택 Won Taek Seo. 진주산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최명석 Myung Suk Choi.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