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Alcaligenes faecalis에 의한 β-glucan의 생합성과 구조 분석

원문정보

The Structure Analysis and Biosynthesis of β-glucan byAlcaligenes faecalis

류강, 이기영, 이은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iosynthesis of curdlan(β-1,3 glucan) was shown by fluorscence on cellufluor medium. The highest production of curdlan was produced when glucose was used as a carbon source and (NH4)2SO4 was used as a nitrogen source. β -form of curdlan was detected in the fingerprint region (890 cm-1) by FT-IR spectrum and shown homogeneous β-1,3 glucan by 13C NMR spectrum (C1-103 ppm, C2-73.2 ppm, C3-86.4 ppm, C4-68.7 ppm, C5-76.63 ppm, C6-61.2 ppm).
Transition of structure from triple helix coil form to random coil form was appeared at 0.1 ~0.25 M NaOH concentration. It was shown that natural curdlan is a triple helix form in neutral but becomes weak in alkaline condi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Alcaligenes faecalis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 다당류인 β-glucan의 생합성에서 탄소원, 질소원의 영향과 생합성된 curdlan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먼저 β-glucan의 생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Aniline Blue 배지에서 청색 colony들을 선별하고 Cellufluor 배지에서 형광성을 보임으로 β-1,3
glucan의 생합성을 확인하였다. Flask 배양에서는 탄소원이 glucose이고 질소원이 (NH4)2SO4일 때 가장 많은 β-glucan을 생산하였다. 탄소원을 glucose로 질소원을 (NH4)2SO4로 사용한 발효조 배양에서는 flask 배양에 비해 생산량이 7.2%가 증가되었다. 질소원을 제한한 발효에서는 최종 생산수율이 38.82%였고 질소원을 제한하지 않은 발효보다 3.02%가 증가되었다. 분리 정제된 curdlan의 FT-IR의 분석에서는 지문영역인 890 cm-1에서 β-form이 관찰되었고 13C-NMR 분석에서는 C1-103.5 ppm, C2-74.3 ppm, C3-89.8 ppm, C4-68.8 ppm, C5-75.5 ppm, C6-61.8 ppm에서 검출되어 homogeneous β-1,3glucan으로 확인 되었다. curdlan의 triple-helix coil 형태에서 random coil 형태로의 전이는 0.1에서 0.25 N NaOH의 농도에서 일어남이 확인되어 중성 상태의 curdlan은 triple-helix coil 형태를 가지지만 알칼리 상태에서는 그 구조가 약해져 randomcoil로 전이 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분리 정제된 curdlan이 정확한 β-결합을 가진 glucan임이 확인되었으며 생합성된 curdlan의 구조와 분자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β-결합을 가지는 glucan의 신속한 선별법을 구축할 수 있었고 이는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β-glucan 생합성 효소나 분해효소의 탐색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균주 및 배양 조건
  플라스크 배양 및 발효조를 이용한 회분식 배양
  분석 방법
  β-glucan의 분리
  FT-IR과 13C-NMR 분석
  Helix-coil transition 분석
 결과 및 고찰
  Aniline Blue 배지와 Cellufluor 배지에서의 β-1,3 glucan(curdlan)의 생합성
  Flask 배양시 탄소원과 질소원의 영향
  발효조를 이용한 회분식 배양
  FT-IR과 13C NMR에 의한 성분 및 구조 분석
  Helix-coil transition 분석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류강 Kang Ryu.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생물공정연구실
  • 이기영 Ki Young Lee. 전남대학교 화학공학부․촉매연구소
  • 이은규 Eun Kyu Lee.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생물공정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