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유동층 생물막 반응기에서의 폐수 탈질화

원문정보

Denitrification of Wastewater in a Fluidized Bed Biofilm Reactor

신승훈, 서일순, 장인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ivated carbon particles of 1.274 mm diameter and sand particles of 0.455 mm diameter were employed as the support of the biofilm formed in fluidized bed biofilm reactors(FBBRs) for the wastewater denitrification. Ethanol was used as the electron donor in the anoxic respiration. The steady-state biofilm thickness increased as the nitrate loading rate increased, and the activated carbon particles induced thicker biofilm than the sand particles. The FBBRs with sand
support showed higher efficiency and rate of the nitrate removal than those with activated carbon support, and exhibited the biomass concentration of 37 kg/m3 and the nitrate removal rate of 21 kg N/m3d.

한국어

탈질화 유동층 생물막 반응기에 모래와 활성탄 입자를 담체로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상태 생물막 두께는 부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2. 활성탄 담체의 경우 모래 담체의 경우보다 두꺼운 생물막이 형성되었다.
3. 생물막 건조밀도는 생물막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4. 모래담체 유동층 생물막 반응기가 질산성질소 제거효율 및 제거속도 면에서 활성탄담체 유동층 생물막 반응기보다 유리하였다.
5. 모래를 담체로 사용하였을 때 반응기 내 최대 균체량은 37 kg/m3, 최대 질산성질소 제거속도는 21 kg N/m3d의 값을 각각 나타내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유동층 생물막 반응기 및 담체
  기질
  미생물 순응 및 식종
  질산성 및 아질산성 질소농도
  생물막 두께, 형태 및 균체량
 결과 및 고찰
  활성탄 담체를 이용한 유동층 생물막 반응기에서의 탈질화
  모래 담체를 이용한 유동층 생물막 반응기에서의 탈질화
  생물막 두께, 형태 및 건조밀도
  질산성질소 제거효율 및 제거속도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신승훈 Seung Hun Shin. 건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서일순 Il-Soon Suh. 건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장인용 In Young Chang. 건국대학교 화학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