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공동캡슐화를 이용한 Capsule 내외부의 분자량 분포

원문정보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side and Outside Capsules Using Coencapsulating Technology

이기선, 임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hange of molecular weight inside and outside a capsule produced using coencapsulating technology was investigated. Chitosan and chitosanase were enveloped in this membrane and product released was a loaded the medium by the principle of size exclusion. The leakage of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agitation speed wa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lginate and CaCO3 concentrations. The optimal condition of alginate concentration and agitation speed were 0.5% and 40rpm, respectively. Membrane thickness and capsules diameter were 10 μm and
approx. 3.0 - 1.5 mm, respectively. Molecular weight difference by concentration and alginate viscosity were of little significance. In accordance with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versus enzyme concentration relationship, low concentration of enzyme produced high molecular weight oligosaccharides. At a 1.5 mm capsule size the product diffusion rate to outer surface highest.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released oligosaccharides was ranged
from 1000 to 6000 Da. More than 80% of the initial activity of encapsulated enzyme retained after 8hrs of reaction.

한국어

막의 특성을 이용하여 기질과 효소가 공존하는 캡슐을 제조하여 이 캡슐의 장점인 membrane의 pore size를 조절하면 올리고당을 분자량별로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으로 기질과 효소의 유출을 조절하여 생리활성이 높은 올리고당을 얻고, 생산된 올리고당의 단순한 분리․정제를 위하여, 그리고 효소의 재 이용 측면에서 encapsulation technology를 이용하여 올리고당을 생산하는 연구를 하였다. 제조된 capsule의 막 두께와 직경은 Olympus IX50 microscope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막의 두께는 10 μm이었으며, capsule의 크기는 대략 3.0 mm, N2 gas를 이용한 capsule은 대략 1.5 mm였다. 본 실험
에 사용된 기질의 용액, 효소액, 반응액, alginate 용액을 pH 5.0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막이 보다 견고하게 형성 할 수 있었으며, 제조된 capsule를 반응 용액 즉 2% acetic acid의 pH를 CaCO3로 조절한 용액에 넣었기 때문에 막이 단단하게 형성되고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질의 사용에 있어서 작은 분자량을 갖는 기질은 효소와 분해 반응에 있어서 가수분해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보통 capsule 밖으로 유출된 올리고당의 분자량은 평균 M.W. 1,000이었다. 그러나 분자량이 큰 기질을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 M.W. 1,000-3,500이었다. 막을 이루는 alginate의 점도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교반 속도에 의한 기질과 효소의 유출, 그리고 분해 반응에 따른 가수분해 산물인 올리고당의 유출에 있어
alginate 농도 0.5%, 교반 속도는 40 rpm이 가장 적당하였다(12). Capsule에서 분해 반응 후 분해 산물인 올리고당의 이동을 빨리 하기 위하여 작은 size의 capsule를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 3.0 mm보다 capsule 내부의 분자량 변화가 더 빨랐으며, capsule 밖으로 유출된 올리고당의 분자량 분석 결과
M.W. 3000-6000의 올리고당이 생성되었다. 반응 시간에 따른 capsule 내부의 잔류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 반응 8시간째에도 약 80% 이상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Batch-type과 비교하여 capsule의 경우에는 반응이 끝난 후 capsule를 회수하여 효소를 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Capsule의 제조
  Coencapsulating Technology
  잔류 효소 활성 측정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 Analysis
 결과 및 고찰
  Capsule의 반응 조건 및 제조
  기질의 종류에 따른 분해 반응
  Alginate에 따른 분자량 변화
  효소의 농도에 의한 분자량 변화
  Capsule의 크기에 따른 분자량의 변화
  Capsule 내부의 효소활성 측정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이기선 Ki-Sun Lee. 여수대학교 생물공학과
  • 임현수 Hyun-Soo Lim. 여수대학교 생물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