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전기투석에 의한 굴자숙액의 탈염 특성

원문정보

Desalination of Boiled Oyster Extract by Electrodialysis

박표잠, 이상훈, 김세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selective elimination of salt from boiled oyster extract (BOE), electrodialyzer was used and the desalination conditions of BOE were investigated. The ion-exchange membrane with a molecular weight cut off 100 Da was used for desalting of BOE. The desalination efficiency at pH 4.0 was 13% higher than that at pH 9.0 when BOE was desalted for 90min. The electrodialysis process could remove above 90% of the initial salt content when 5% BOE was desalted at pH 5.62 for 100min. The initial volume and concentration of permeation solu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esalination time and ratio.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desalination of BOE were found to be pH and concentration of BOE. The results obtained prove that electrodialysis is a practical solution to the problem of selective elimination of salt from BOE.

한국어

굴 자숙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정미성분, 당 및 단백질 등의 유용성분을 이용하고자 자숙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기투석에 의한 최적의 탈염조건을 구명하였다.
자숙액 중의 건조중량에 대한 당과 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71.25%와 25.05%였으며, 염의 농도와 pH는 각각 10.81%와 5.62였으며, 핵산관련물질 중 정미성분인 IMP의 함량은 2.15μmole/g이었다. 전기투석에 의한 자숙액의 탈염에 필요한 이온교환막은 분자량 100 Da이상을 회수할 수 있는 AC-110-400과 300 Da 이상을 회수할 수 있는 AC-220-400을 상호 비교한 결과, 탈염율과 탈염시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
며, 당과 단백질의 유실량이 적은 AC-110-400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숙액의 탈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중에서 자숙액의 농도는 1% (w/v) 용액에서 탈염시간은 60분이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탈염시간은 길어졌다. 자숙액의 염농도는 탈염초기에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8% (w/v) 용액에서 240분에서 96%까지 탈염되었다. pH에 따른 자숙액의 탈염은 탈염초기에 거의 비슷한 경향으로 탈염이 진행되었지만, 최종 탈염율에서는 pH 9.0의 알칼리 영역보다 pH 4.0의 산성영역에서 탈염율이 높았다. 또한, 자숙액의 부피에 대한 탈염율은 부피가 증가할수록 탈염에 소요되는 시간은 길어졌으며, 투과액의 부피와 종류는 자숙액의 최종 탈염시간 및 탈염율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자
숙액의 탈염은 주로 자숙액의 농도와 pH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5%의 자숙액 1ℓ, pH 5.62에서 전기투석기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탈염이 가능하였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시약 및 재료
  일반성분 및 염도 분석
  아미노산 조성분석
  핵산관련 물질의 분석
  전기투석장치
  이온교환막의 선정
  염농도에 따른 탈염시간과 전기전도도
  자숙액의 농도
  자숙액의 pH
  자숙액의 부피
  투과액의 부피 및 종류
 결과 및 고찰
  일반성분 및 염도
  아미노산 조성
  핵산물질의 분석
  이온교환막의 선정
  염농도에 따른 탈염시간과 전기전도도
  자숙액의 농도에 따른 탈염특성
  자숙액의 pH
  투과액의 부피 및 종류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박표잠 Pyo-Jam Park. 부경대학교 화학과
  • 이상훈 Sang-Hoon Lee. 부경대학교 화학과
  • 김세권 Se-Kwon Kim. 부경대학교 화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