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고려인삼과 장뇌삼의 페놀성 성분 비교 연구

원문정보

Differences in Phenolic Compounds between Korean Ginseng

유병삼, 이호재, 변상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ifferences in phenolic compounds were observed between cultured and mountain ginsengs. Cinnamic acid and p-hydroxybenzoic acid in Korean mountain ginseng and Chinese mountain ginseng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Korean ginseng. Contents of the esculetin in Korean cultured ginseng and Korean mountain ginseng were higher than that in Chinese mountain ginseng. The highest contents of esculetin in Korean mountain ginseng was 47.2 μg/g. Contents of the ferulic acid and caffeic acid in red colored Korean mountain ginseng were higher than any other ginseng.

한국어

한국산 재배인삼과 장뇌산삼 그리고 중국산 장뇌산삼에 포함되어 있는 총 페놀성 성분 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개별적인 페놀성 성분들의 함량에서는 몇 가지 특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Cinnamic acid와 p-hydroxybenzoic acid는 재배인삼보다 장뇌산삼에서 각각 3~4배, 2~3배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Esculetin은 한국산 재배인삼과 장뇌산삼에서 중국산 장뇌산삼보다 더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KM-1의 경우 47.2㎍/g으로 가장 높았다. Ferulic acid와 caffeic acid의 경우 KM-2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는데, 인삼의 적변현상에 관련된 성분으로 사료된다. Ester 상태의 총 페놀성 성분 함량은 장뇌산삼에서 재배인삼보다 3~4배 더 높았다.
Panax ginseng에 포함되어 있는 페놀성 성분들은 완전한 성장연령이 지난 후에는 총 함량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개별적인 페놀성 성분 함량과 존재 형태에 있어서는 서식지별 또는 재배방법 등에 따라 구분되는 함량차이를 나타내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시료 및 시약
  페놀성 성분의 추출
  페놀성 성분의 분석
 결과 및 고찰
  인삼 종류별 페놀성 성분의 총함량 비교
  개별적인 페놀성분에 대한 함량 비교
  종류별 인삼에서 Free 상태와 Ester 상태의 페놀성 성분에대한 함량 비교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유병삼 Byoung Sam Yoo.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 이호재 Ho Jae Lee.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 변상요 Sang Yo Byun.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