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의 제조와 안정성 측정

원문정보

Preparation and Stability Measurement of Liposome-amino Acid Conjugates

문제영, 이기영, 김진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iposome-amino acid conjugates were prepared using phospholipid (dipalmitoylphosphatidylcholine (DPPC) or distearoylphosphatidylcholine(DSPC)) and hydrophobically modfied amino acids (glutamic acid(glu), glutamine(gln) or asparagine(asn)). The size of liposomes was about 100 nm. According to the glucose-induced turbidity changes, liposomes composed of DPPC and glutamic acid have higher glucose binding affinity than liposomes of DPPC-glutamine or DPPC-asparagine. Also, the liposomes were more
stable in terms of aggregation or fusion than the others (DPPC-glutamine, DPPC-asparagine and DSPC-amino acids). As a result, stable liposomes with an affinity for glucose could be prepared with DPPC and glutamic acid

한국어

Octadecylamine으로 수식된 아미노산을 DPPC 혹은 DSPC와 혼합하여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를 제조하였다. 리포솜의 크기는 100nm이고 구형이었다. DPPC와 글루탐산을 혼합하여 제조한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가 글루타민이나 아스파라긴을 사용했을 때보다 포도당과의 친화성이 컸다. 제조한 리포솜의 안정성 면에서도 DPPC와 glutamic acid으로 구성된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의 안정성이 높았다. 결국 포도당 친화성과 안정성을 갖춘 리포솜은 DPPC 와 글루탐산의 비가 7 : 3 으로 제조된 리포솜이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사용시약
  아미노산 수식
  포도당 민감성 리포솜제조
  ODA에 의한 아미노산 수식 확인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한 리포솜 관찰
  포도당과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의 친화도 측정
  리포솜의 안정성 측정
 결과 및 고찰
  아미노산 수식 확인
  TEM을 통한 리포솜 관찰
  포도당과 리포솜-아미노산 결합체의 친화도 측정
  리포솜의 안정성 측정
  최적 리포솜 아미노산 결합체
 요약
 감사
 REFERENCES

저자정보

  • 문제영 Je-Young Moon. 전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이기영 Ki-Young Lee. 생물화학공학과, 촉매연구소
  • 김진철 Jin-Chul Kim. LG 화학기술연구원(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