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지역별 양극화와 자산소득: 소득항목별 영향력과 시계열적 변화

원문정보

On the Measurement of Regional Bi-polarization in Korea

김성제, 최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Korea, alongside fast economic growth has come a new challenge: deepening bi-polariz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bi-polarization in Korea with respect to in-come source using KLIP(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during 1998-2004. Furthe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sons behind the increasing regional(8 provinces) bi-polarization with respect to income source(financial income, real estate income, public subsidies). When the Wolfson indexes of income bi-polarization were meas-ured by regions, the levels of bi-polarization are so different by regions. Especially, income of real estate caused negative effect on bi-polariz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한 양극화에 대한 개념과 분석방법론 연구를 토대로 하여 총소득을 기준으로 근로소득, 부동산소득, 금융소득, 공적이전소득 등이 각각 양극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시계열적으로는 어떠한 추세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지역별 양극화와 자산소득의 시계열적 변화 및 소득항목별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의 1차년(1998년)부터 9차년(2006년)까지 총 9차례에 걸쳐 조사된 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했으며, 연구방법으로 Wolfson지수의 산출을 통해 지역별 양극화와 자산소득의 추세 및 소득항목별 영향력을 파악했다. 분석결과 도 단위의 양극화 수준과 추세는 전국의 그것들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며, 자산소득 중에서도 부동산소득이 대체로 양극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다르게 금융소득은 지역별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양극화와 양극화 지표
 3. 양극화 분석 자료와 방법
  1) 노동 패널
  2) 분석 방법
 4. 양극화 추세
  1) 전국: 총소득 기준
  2) 도별 양극화 추세: 총소득 기준
 5. 소득항목별 영향력
  1) 경기도
  2) 강원도
  3) 충청북도
  4) 충청남도
  5) 전라북도
  6) 전라남도
  7) 경상북도
  8) 경상남도
 6. 결론 및 시사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성제 Kim, Sung-Je.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수료, 세종사이버대 강사
  • 최상희 Choi, Sang-Hee.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박사,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