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지행동 심리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 자아존중감 및 역기능적 신념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Program Focused on Cognitive Counseling on Teacher' Job Satisfaction, Burnout, Self Esteem and Dysfunctional Attitudes

박경애, 조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gram focused on cognitive behavioral psycho education on job satisfaction, burnout, self esteem, dysfunctional attitude for teachers vulnerable to job stress. The group was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took the program and control group members waited for the program. Two groups were surveyed the job satisfaction, burnout, self esteem, and dysfunctional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conclusion, there were th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urnout, self esteem and dysfunctional attitude between two group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at of dysfunctional attitude and burnout decreased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gram focused on cognitive counseling was effective on managing the job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the effect of program focused on cognitive behavioral psycho education on job satisfaction, self esteem, dysfunctional attitude and burnout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were offered for future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에 취약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심리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직무 만족은 높이고 심리적 소진은 낮추고 자존감 수준을 높이고 역기능 신념을 긍정적으로 하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집단과 통제 대기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인지행동 심리 교육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에게 프로그램 전후해서 직무 만족과 심리적 소진, 자존감과 역기능 신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대기 통제 집단사이에 직무 만족, 심리적 소진과 자존감 및 역기능 신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인지행동 심리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 집단의 직무 만족과 자존감은 대기 통제 집단과 비교해서 유의하게 높아졌고, 역기능적 신념과 심리적 소진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지행동 심리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리와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목차

요 약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인지행동 심리 교육 프로그램과 직무 만족 및 심리적 소진
  2. 인지행동 심리 교육 프로그램과 자아존중감 및 역기능적 신념
  3. 연구 가설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인지행동 심리교육 프로그램
  3. 측정 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실험 집단과 대기 통제 집단 간 각 척도의 사전 검사 비교
  2. 실험 집단과 대기 통제 집단간 각 척도의 사전-사후 검사 차이
  3. 사후 검사 시 집단 간 각 척도의 차이 비교
 Ⅳ. 논 의
  1. 결론과 논의
  2. 제언과 한계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경애 Park Kyung Ae. 광운대학교 교수(Kwangwoon University)
  • 조현주 Cho Hyun Joo. 성균관대학교 강사(SungKyunKwa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