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과 법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법교육의 본질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eacher Education for Law-Related Education

김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quiry teacher education for law-related education(LRE).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nature of LRE This is important element of reasoning orientation to teacher education. For analyzing nature of LRE, I investigated concept of LRE, history of LRE development, curriculum object of LRE. And for drawing of teacher education orientation, I used paradigm patterns of teacher education. This results as follows:First, LRE belongs to subject matter for citizenship education.Second, it is important object of LRE that students are able to inquiry and decide making on law or law-issue in life. From results, I suggested academic orientation to teacher education which was focusing on LRE subject matter and emphasizing reflective competency. And for this, I suggested programs on LRE which would be carried ou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한국어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원화됨에 따라 법규범에 대한 영향력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법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이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법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사회과 법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사교육 연구의 시작점으로 법교육 담당교사 양성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이를 위해 사회과 법교육의 본질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법교육의 본질 규명을 위해 법교육의 의미, 법교육의 발달과정 및 목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교사교육의 방향 도출을 위해 교사교육 관점에 제 유형들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과 법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방향으로 ‘법 교과교육’을 중심으로 반성적 능력을 강조한 학문적 관점이 도출되었다. 사회과 법교육 교사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법교육에 대한 정확한 안목이고, 이를 위해서는 법 교과교육을 중심으로 한 지식획득과 그 과정에서의 반성적 능력이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방향에서 교사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예비교사 양성과정을 중심으로 한 법교육 프로그램 운영안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사회과 법교육의 본질
  1. 법교육의 의미
  2. 법교육의 발달과정
  3.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법교육
 Ⅲ. 사회과 법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1. 사회과 법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방향
  2. 사회과 법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Ⅳ.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순희 Kim, Soon-Hee.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SNU,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