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주제

세계화 시대에 도덕교육의 방향

원문정보

A Study of Moral Education toward the Age of Globalization

남궁 달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what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so-called traditional moral education was to transfer moral norms to children in order that they internalize them into their heart. This kind of moral norms consist of concrete contents. This kind of approach could be called ‘the content approach to moral education’. Of course, this approach is still realized and worked pretty well even today. Because nobody can enter into the region of moral life in one's own society without being educated by the approach. However today the content approach is no more good enough. Under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world citizens face to different moral norms brought along different societies and cultures. For this reason, if there are moral problems between them, it will be difficult for them to solve the problem. There will be conflict between them due to their different moral norms.
The age of globalization should require a kind of universalized moral norm which can survive among those different moral norms. ‘The impartial consideration of people's interest’ will be the kind of universalized moral norm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is norm works as a procedure or form in the course of solving moral problems regardless of whether what content the problems consist of. However, we cannot expect the ‘form approach’ will be realized in children's daily life, whether it is in home or society or school. The form approach aims to develop children's capacity to solve their faced moral problems reasonably and autonomically by their own moral thinking. Namely. the purpose of the ‘form approach’ is mainly to develop children's capacity of moral thinking. This kind of capacity can be developed in the course of moral lessons according to moral curriculum.
For this kind of reason, the direction toward moral educ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should be
the ‘form approach’.

한국어

세계화 시대에 인류를 위한 도덕교육은, 과거의 전통사회에서 그 사회․문화에 영향을 받아 수립된 도덕규범을 아이들에게 전달하고 그것이 내면화될 것을 기대하는 내용적 접근의 도덕교육만으로는 곤란하다. 지구촌에서 도덕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세계시민들이 각자 자신의 사회․ 문화에 영향을 받은 서로 다른 도덕규범들에 따라 도덕적 행동을 하려한다면, 그 문제는 해결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세계화 시대는 세계시민들이 수용하여 공유할 수 있는 탈문화적인 도덕규범이 요구된다. 이러한 도덕규범은 사회․문화에 영향을 받는 구체적인 내용이기보다는 도덕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일련의 절차, 즉 형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도덕규범이어야 한다. ‘공정한 이익 고려’는 이러한 도덕규범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도덕규범은 특정한 사회․문화와 무관하게 세계시민들 간에 발생한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원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문제는, 그것이 도덕적 문제인가를 인식하고, 사고하고, 판단하고, 판단대로 행동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심이 되는 절차는 도덕적 사고하기다. 넓은 의미에서 볼 때 도덕적 문제를 인식하고 판단하는 것도 도덕적 사고하기로 볼 수 있다. 도덕적 문제의 인식은 도덕적 사고의 시작 단계이고 도덕 판단은 도덕적 사고가 완료되는 단계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사고는 이성에 기초한 합리적 사고와 도덕적 상상을 통한 역지사지가 작용하는 형식적 접근이 중심이 된다. 형식적 접근에서 도덕교육의 목적이 되는 도덕적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은 주로 도덕적 사고의 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덕적 사고하기교육은 가정이나 사회 또는 학교의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지기 어렵다. 도덕적 사고하기는 도덕수업으로 이루어져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세계화 시대에 지구촌에서 세계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도덕교육은 탈문화적인 보편적 도덕규범을 중심으로 도덕수업을 통한 형식적 접근의 도덕교육이 이루어질 때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시작하는 말
 Ⅱ. 전통적 도덕규범과 내용의 도덕교육
 Ⅲ. 세계화 시대와 보편적 도덕규범
 Ⅳ. ‘공정한 이익 고려’와 형식의 도덕교육
 V. 도덕수업과 도덕적 사고하기
 Ⅵ. 맺는 말
 Abstract

저자정보

  • 남궁 달화 Namkung, Dalwha.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