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 유족들의 동료지원서비스 제공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살유족 동료지원 활동을 수행한 8명의 동료지원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기반하여 귀납적 주제분석을 수행한 결과, 자살 유족 동료지원 활동의 의미와 동료지원 활동가로서의 변화에 대한 2개의 대주제 내에서 6개의 상위주제(일상 회복을 지원하면서 만족감을 느낌, 애도를 지원하고 삶의 목적을 안내함, 일상이 회복되고 마음의 평안을 찾음, 상실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고 현재를 받아들임, 동료지원 활동 지속에 대한 어려움을 마주함, 개인의 내적 성장을 발견함)와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살 유족의 일상 회복과 애도를 지원하면서 동료지원 활동의 의미를 찾았다. 또한 동료지원 활동가로서 일상 회복과 심리적 평안이 도모되었고, 상실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며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동시에 동료지원 활동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개인의 내적 성장을 발견하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는 동료지원 활동을 기반으로 자살 유족의 회복과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s providing peer support to those who lost a family member to suicide. Eight peer support providers for family members bereaved by suicide completed in-depth interviews. Through inductive thematic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ix themes (feeling satisfied by supporting daily recovery, aiding in grief, guiding the purpose of life, recovering daily life and finding peace of mind, improving understanding of loss and accepting the presence of the bereaved, facing challenges in continuing to provide peer support, and discovering the inner growth of individuals) and 15 subthemes emerged, framed by two domains, related to the meaning of providing peer support and changes among peer support providers. Participants reported finding meaning by helping other families bereaved by suicide enhance their recovery in daily life and promote their grief process. These activities promoted the providers’ ability to cope with daily life challenges and psychological comfort while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of loss and accepting the reality of bereavement. Despite challenges in providing peer support, participants experienced personal growth, a sense of being valued, and improved self-esteem. Th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indicating that peer support activities for families bereaved by suicide can facilitate recovery and foster personal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