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일본에서는 독도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정책이 발표되었다. 2022년 12월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내각 최고 의사결정 회의인 각의를 통해 안전보장 관련 전략 문서를 개정하고 독도에 대한 일본 영유권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국가안전보장전략을 통해 “영토·주권 문제에 대한 이해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을 강화한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초·중·고 교과서와 지도에서 ‘독도는 일본 고유 영토’라는 내용을 수록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일본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독도와 센카구 열도, 쿠릴열도 남단 4개 섬이 일본 자국의 영토라는 홍보를 위하여 약 3억엔(약 27억)을 편성했다. 이런 일련의 일본 정부의 모습을 통해 우리는 독도 교육 강화에 필요성을 다시금 느끼게 된다. 특히 우리가 현재 대한민국의 독도 관련 교육 정책에 있어 담당해야 할 역할은 일본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독도 왜곡 문제에 대해 학교 현장에서의 현실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찾는 것이다. 또한 이와 함께 학생들에게 영토 주권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독도 영유권의 정당성을 확립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당면한 독도 영유권 문제를 확인하고 이에 대하여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는 교육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특히 앞으로 교육 현장에 적용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역사ㆍ지리 교과목을 중심으로 독도 교육 내용의 편제와 운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안에서 독도 교육의 취지를 충분히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Not long ago, a remarkable policy was announced in Japan regarding Dokdo. In December 2022, Japanese Prime Minister ‘Fumio Kishida’ revised the security-related strategy document and confirmed the sovereignty of Dokdo through a cabinet meeting, the highest decision-making meeting. In addition, through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the policy direction of "strengthening efforts to spread understanding of territorial and sovereignty issues" was suggested, and accordingl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nd maps were required to include the contents of "Dokdo is Japan's own territory." In ad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set aside about 300 million yen (about 2.7 billion won) to promote that Dokdo, the Senkagu Islands, and the four southern islands of Kuril Islands are Japanese territory in next year's budget. As can be seen from this series of images, the Japanese government's series of Dokdo-related moves are reawakening the need to strengthen our Dokdo Territorial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role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Korea's current Dokdo-related education policy is to fi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Japan's systematic and systematic Dokdo distortion problem. In particular, activ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Dokdo's sovereignty based on the importance of territorial sovereignty to student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issue of Dokdo sovereignty at hand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prepare an educational alternative to properly cope with it. In particular, we wanted to analyze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Dokdo Territorial education, focusing on history and geography subject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be applied to high school education sites in the future, and suggest ways to fully utilize Dokdo Territorial education within the revised curriculum.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History and geography subjects, Dokdo Territorial Education, 2022 Revised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