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실행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을 교원양성기관 재학생과 교수, 현직교사와의 FGI 조사를 통해 종합적으로 도출함으로써 교원양성체제의 미래 혁신과 고도화 방향에 대한 예비적 안내를 실천적으로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FGI 참여자 선정과 면담 진행을 위해 연구 주제 및 목적에 부합하는 교원양성기관 소속 교수와 학생, 현직교사 등 3개 집단으로부터 18명을 목적 표집하였으며, 수집된 질적 면담 자료는 반복적 비교 및 확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문제점을 중심으로 범주화 한 결과, ① 교육과정 영역의 상위 범주는 시대가 요구하는 교사 역량 함양 교육과정의 부족, 학교 현장 연계 교육과정의 부족, 교육과정의 불균형과 연계성 부족, ② 교수-학습 방법 영역의 상위 범주는 시대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일방적인 교수자 중심의 이론 강의,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피드백 부족, 교수-학습 방법의 습득 기회 부족과 현장과의 괴리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FGI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교원양성과정 체제 개편을 위한 주요 추진 방향과 실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find directions for quality improvement for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is study conducted FGI with a total of 18 students, professors, and teachers. The collected qualitativ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Findings/Results: The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anagement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ere disparate from the field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led to the lack of field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Value: By comprehensively acquiring diverse opinions and insightful understanding from stakehold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field-based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micro-ideas for innovative changes in the teacher edu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