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원의 AI·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한 국가 수준의 교육사업인 ‘AIEDAP(아이에답)’ 사업 분석을 통하여 국가 교육 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IEDAP 사업 관련 주요 문헌 자료 분석 및 사업 참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Ansell과 Gash(2008)의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에서 제시하는 네 가지 변인(초기조건, 제도적 디자인, 촉진적 리더십, 협력과정)을 중심으로 AIEDAP 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제 구성에 대한 주요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AIEDAP 사업은 교원의 AI·디지털 역량강화라는 분야에서 기존의 정부, 학계, 민간으로 흩어져 있던 자원과 지식들의 격차가 확대됨에 따라 협력적 거버넌스 구조 정립의 필요성으로 출발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위해 AIEDAP에서는 열린 태도와 유연한 소통체계를 중심으로 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규칙을 만들고, 참여하는 조직들이 자율적으로 다양한 시도들을 실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또한 사업 운영 시에는 중앙부처의 정책적 리더십과 수행기관 및 권역별 사업지원단의 전문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각을 가진 전문가 집단의 참여와 헌신을 독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업수행기관에 의해 강조된 대면 회의는 구성원 간 신뢰 구축과 이해 공유의 토대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조직 간 연계·협력이 활발히 일어나, 결과적으로 다양한 성과가 도출될 수 있었다. 사례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이와 같은 국가 교육 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현장교사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고, 사업 추진 전 단계에서 사업 참여 구성원들과 필요한 행정적 협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앙부처 및 사업수행기관과 같은 리더조직을 중심으로 사업 구성원들 간의 지속적인 협력 촉진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case of ‘AIEDAP(AI EDucation Alliance and Policy lab)’, a national-level education project focused on enhancing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To this end, we analyzed four variables (starting conditions, institutional design, facilitative leadership, and collaborative process) presented in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 proposed by Ansell and Gash (2008) through a review of key reports, meeting minutes and interview with core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AIEDAP project.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AIEDAP project originated from a strong need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governance structure, as the gap between stakeholders widened due to the dispersion of existing resources and knowledge among the government, academia, and the private sector. Consequently, AIEDAP was designed with rules that facilitate collaborative governance, such as an open attitude and flexible communication system. These rules enabled stakeholders to autonomously undertake various initiatives aimed at enhancing teachers’ AI competencies. Furthermore, the leadership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roject executing organization played a crucial role in encouraging stakeholders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to the project with diverse perspectives. Lastly, the face-to-face meetings, emphasized by the project executing organization, served as the cornerstone for building trust and fostering shared understanding among members, thereby facilitating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organizations and producing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 future national education projects are propose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ystem that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from various stakeholders, especially including in-service teachers. Additionally, necessary administrative process should be initiated among stakeholders before their involvement in the project. Above all, the role of leadership by the government and the project executing organization is essential to facilitate continuous collaborative governance among project stakehol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