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기주도적 학습 시간과 우울 간 관계에서 학업 성취도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자율성 지지 양육방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초4 패널 4차년도 자료에서 2,155명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빈도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조절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조절효과의 해석을 위해 단순 기울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자기주도적 학습 시간은 학업 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자녀의 학업 성취도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녀의 학업 성취도는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 시간은 학업 성취도를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우울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시간의 직접 효과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의 수준에 따른 조건부 효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제언을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time on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The analytic sample was comprised of 2,155 cases from the 4th wave of KCYPS 2018.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the forementioned variables.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and the simple slope was conducted to interpret the moderating effec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ti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parental autonomy suppor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 negative association on depression. Third, academic achieve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Forth, self-directed learning time had the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academic achievement. Fifth, the direct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time on depression was conditional effects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