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후기 청소년이 된 시점에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진로를 선택한 후 대학에 진학하였거나 취업한 중도입국 청소년 3명을 목적 표집 하여 수차례의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그들의 경험을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한국이주로 인한‘변화와 혼란’을 겪었으나 지역 센터의 한국어 수업과 봉사활동 등 외부 환경과의 접촉을 통한 다양한 체험활동에서‘노력과 보람’의 과정을 거쳐 자신과 직업의 의미를‘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진로를 결정하였고 후기 청소년이 되어 더욱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실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성공적인 진로 결정에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체험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경험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immigrant youth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t the point of becoming post-adolescents. To this end, we purposively sampled three immigrant teenagers who had chosen their current career paths and then entered college or worked, and through several round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ir experiences were explore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hanges and confusion' due to their immigration to Korea. However, through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studying Korean in the community center and engaging in volunteer work, they underwent a process of ‘effort and reward,' leading to‘an integrated understanding’of themselves and the meaning of their professions. As a result, they made career decisions and as post-adolescents, they were further preparing and executing their plans more concretely.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of experiential interactions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s a key factor in the successful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mid-term immigrant adolescents. Lastl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