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칼뱅 시기 주네브는 치리회를 중심으로 엄격한 사회통제와 민중규율화를 실시했다고 알려져있다. 본고에서는 치리회 민중규율화의 최종 목표를 완전무결한 도덕성이아니라 무난하고 원만한 ‘건전함’이라 규정하고자 한다. 이는 주네브 치리회를 종교적, 도덕적 기준을 주입하려는 일방적 규제의 도구로만 보지 않고, 거주민들의 삶전체를 외형적으로나 내면적으로 건전하게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일종의 ‘사회서비스’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해당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우선 주네브 치리회가 이루고자 했던 ‘건전한 사회’란 어떤 것인지 외적 행동과 내적 감정의 차원으로 구분해 구체적인 통제의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행동과 감정의 통제는 주네브 거주민들을 좀더 합리적이고 문명화된 존재로 만들 계기가 되었던 반면, 건전함을 강요함으로써 갈등의 본질을 회피하는 한계 역시 지니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네브 거주민들이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을 치리회에 청탁하는 양상을 볼 때, 치리회의 민중규율화 작업을 일방적 강요와 억압 이상으로 해석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종교개혁의 민중규율화 작업을 일종의 사회적 ‘갈등 조정 거버넌스’로 해석할 수 있을지 분석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During Calvin’s time, Geneva is known to have implemented strict social control and discipline through the Consistory system.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final goal of the consistory’s civil discipline was not to achieve perfect morality but to pursue “wholesomeness”.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of viewing the consistory of Geneva not as an instrument of unilateral regulation to impose religious and moral standards but as a kind of “social service” that manages the entire life of the residents to keep them healthy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We review this hypothesis by examining particular cases of external behavioral control to internal emotional management. While this control of behavior and emotions had the potential to make the inhabitants of Geneva more rational and civilized, it also had the limitation of avoiding the nature of conflict by enforcing wholesomeness. Nevertheless, given how the inhabitants of Geneva turned to the consistory for help in situations they could not resolve on their own,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consistory’s rule as more than unilateral coercion and repression. Consequently, this paper analyzes whether the Reformation’s civil discipline can be interpreted as a form of social ‘conflict mediating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