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서 비선호적 반응 발화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교재 대화문 제작 시의 개선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어 교재 대화문에서 비선호적 반응 발화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교재 대화문에서 비선호적 반응의 제시 빈도가 매우 낮았으며, 그중에서도 ‘태도 표현하기’에 대한 비선호적 반응이 주를 이뤘다. 또한, 거절 화행과 관련된 단원에서 나타난 대화문은 주로 선후배나 친구 간의 상황이었다. 비선호적 반응을 나타낼 때 주로 표현 전략이 제시되었으며, 지연 전략은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선호적 반응 발화의 제시 빈도를 높이고, ‘태도 표현하기’의 하위 범주인 ‘발표하기’와 관련된 대화문을 제시할 때 화․청자 간의 상호작용하는 장면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거절하기’를 주제로 다룬 단원에서는 선후배와 친구 외에도 다양한 사회적 관계 간의 대화문을 다루어야 한다. 비선호적 반응을 나타낼 때의 전략을 더 다양하게 제시하고, 특히 지연 전략의 제시 빈도를 높여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dispreferred respons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 dialogues to offer insights and suggestions for enhancing future dialogue creation, particularly in preference organization. Methods: Drawing from existing research, preference structure categories were established, and dispreferred response patterns were analyzed in 26 Korean language textbooks (beginner to advanced levels) published since 2018. Results: The frequency of presenting dispreferred responses in textbook dialogues was notably low, with a predominant focus on dispreferred reactions related to ‘conveying attitudes.’ Dialogues depicting refusal speech acts, mainly in scenarios involving seniors and juniors or friends, were observed in sections related to refusal speech acts. Expressive strategies were primarily employed when manifesting dispreferred responses, with limited use of delay strategies. Conclusion: Increase preferential response frequency and introduce diverse dispreferred responses beyond ‘conveying attitudes.’ Include interactive scenes in dialogues related to ‘presentation’ within ‘conveying attitudes.’ Address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 chapters on ‘refusal,’ not just seniors, juniors, and friends. Present a variety of strategies for expressing dispreferred responses, with a focus on increasing the frequency of delay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