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그간 용법별로, 부분적으로만 검토되어 온 의문형 종결어미 ‘-는가/(으)ㄴ가’, ‘-나’, ‘-(으)ㄹ까’의 한국어 교재에서의 제시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이들 어미의 적절한 제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이들의 의미와 용법을 문말 위치의 해체와 해요체, 하게체, 하라체, 그리고 비문말 위치의 명사절 용법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최근 발간된 한국어 교재들을 검토한 결과, 해체의 ‘자문’의 용법과 하라체 용법은 문법 항목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명사절 용법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재의 ‘-(으)ㄹ까요’ 용법 기술에서는 ‘추측’의 용법에 대한 이해와 사용에 있어 필수적인 추측의 주체와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거나 잘못된 경우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교재에서 화자의 행위에 대한 청자의 의도를 묻는 ‘의도’의 기본 용법을 설명하지 않고 있었다. ‘-(으)ㄴ가요’, ‘-나요’의 경우,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는 특성을 중심으로만 설명이 제공되고, 격식성과 관련된 설명은 찾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검토 결과에 따라, 본고에서는 해체의 ‘자문’ 용법, 하라체 용법, 명사절 용법을 모두 문법 항목으로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용법 기술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보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suggested target grammatical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s, specifically the sentence-final endings '-neunga/(eu)nga', '-na', and '-(eu)lkka'. It proposes some basic direc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data from five ser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s published by well-known institutes since 2018. The findings of the data analysis reveal that 'hara' style questions in written texts, self-addressed questions, and 'hage' style questions have rarely been suggested as target grammatical items. Additionally, the usage for nominal clause formation has never been suggested. Some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bject of conjecture concerning '-(eu)lkkayo' is insufficient or incorrect in the explanation of selected grammatical items. The basic usage of intentional '-(eu)lkkayo' is also rarely suggested. Furthermore, the explanation of '-(eu)ngayo, -nayo' only emphasizes their friendliness, while lacking information on their formality. 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usage of 'hara' style questions in written texts, self-addressed questions, and 'hage' style questions as target grammatical items. Moreover, the problems found in the explanation of these endings, both large and small, should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