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榷場’은 중국 宋代에 국가가 전매와 징세, 매매, 유통을 독점한 시장이자 정부의 관리·감독과 통제 아래 대외무역이 이루어진 국경지역 교역장이었다. 특히 송과 공존한 遼·金 두 왕조는 국가재정을 전적으로 육상무역에 의존하고 있었으므로 高麗와의 각장무역을 추진하였다. 고려의 각장무역은 遼代와 金代라는 두 시기에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요대에는 요에 의해 일방적으로 각장이 등장하였고 보주라는 영토 문제가 수반되어 무역 자체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에 반해 금대에는 양국의 국경 문제가 비교적 조기에 마무리되면서 고려에서 각장을 설치하였고 금에서도 각장을 설치하여 쌍방 교역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고려시대 각장무역의 추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요대에 고려는 요의 각장에 상응하는 각장을 설치하지 않았다. 그것은 요나라가 압록강 동안의 보주를 점령한 것이 주요한 원인이었고, 만일 고려가 각장을 설치할 경우 현재의 국경을 인정하는 것이 되므로 이를 거부한 것이다. 다만 고려는 각장무역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본 것이 아니며 어느 정도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둘째, 각장무역은 중원에서 유입된 시장 개념이고, 고려전기에는 국가가 민간무역을 통제하였기 때문에 고려로서는 각장을 국가의 통제와 관리 하에 두었을 것이다. 셋째, 각장무역은 관무역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각장에는 관의 허가를 받은 상인들이 출입하여 거래를 통해 이윤을 획득했으므로 일정부분 사무역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자유무역이 아닌 관리무역의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요·금 두 왕조도 대고려 각장무역을 추진한 목적이 있었다. 우선 요나라의 경우는 중계무역을 중시하면서 동경도(요동) 지역의 인구가 증가한 측면이 있었기에 보주 각장이 필요하였다. 금나라의 경우는 국초부터 재정 소모가 심하여 주변국과 각장무역을 시작하였다. 특히 금의 대고려 각장은 만주에 거주하는 여진족들을 위해 필요하였다. 이러한 고려시대의 각장무역은 향후 조선시대의 국경무역에 경험적 토대가 되어 역사적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gakjang (“榷場,” or quenchang in Chinese) trade between Goryeo and the Liao (“遼”) Dynasty, also called Khitan (“契丹”), and the Jin (“金”) Dynasty, also called Jurchen (“女眞”) from the 11th to 13th centuries. It tracks various changes in the gakjang trade between Goryeo and the two “conqueror dynasties” to elucidate the nature of border trade and border markets in the Goryeo period,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akjang in Goryeo. Gakjang markets were widely established for trading with the Northern peoples who primarily relied on trading with China. By 1005, gakjang markets came to exert direct influence on Goryeo. For security reasons, Goryeo did not establish its own gakjang markets corresponding to the quenchnag in Baozhou established by Liao. However, Goryeo merchants visited the gakjang to import livestock such as lambs and horses, and various goods. Liao was also actively engaged in trading with other peoples, and encouraged the spread of goods from Goryeo across the empire,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ce role assumed by the gakjang trade. However, the gakjang markets alternated between shut-downs and re-openings on account of frequent conflicts between Goryeo and Liao. After the 2nd Liao-Goryeo War (1010), Liao clearly showed its intention to invade Goryeo by setting up a gakjang market in Chongju, which was controlled by Goryeo at the time. After the shutdown of the gakjang markets following the 3rd Goryeo-Liao War (1018), the two countries traded goods only through official envoys travelling between the two regions. In the early 12th century, Goryeo established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Jin Dynasty. The two dynasties were able to open gakjang trade as early as 1141, after they resolved the conflict over the eastern bank of the Amnok River and addressed their respective domestic issues. Jin established gakjang markets in Laiyuanzhou and Qingzhou, and Goryeo opened gakjang markets in Uiju and Jeongju and Jeongpyeong, and the trade between the two dynasties flourished as represented in “Gakjang,” In the early 13th century, the gakjang trade between Goryeo and Jin was temporarily disrupted by the Mongol invasion, the decline of the Jin Dynasty, and the revolts by Khitan refugees and Dongzhen. The Jin-Goryeo trade resumed, however, as Emperor Xuanzong was keenly interested in re-opening the markets to maintain the empire’s control over Liaodong, and Goryeo needed the market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Mongol and keep Dongzehn in ch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