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방자치론은 대한제국이 주권을 상실해 가는 상황에서 한국인이 제기한 정치적 자구책이다. ‘한성자치론’은 지방자치론의 하나로, 한성에 자치시제를 실시하고 이것을 지방자치제 실시로 확대하자는 논의이다. 그것은 통감부의 한성과세 시도로 촉발된 지방자치론을 배경으로 야기되었다. 통감부는 지방비용의 확보를 위해 한국인과 외국인에 대한 한성과세를 시도했고, 외국인에 대한 과세가 어려워지자 한국인만을 대상으로 지방세 과세를 준비했다. 그리고 지방세의 원활한 과세를 위해 지방위원회를 설치했고, 이는 관계와 민간에서 지방자치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때 ‘한성자치론’이 대두되는데 중추원과 민간에서 한성자치제의 실시를 주장했으나 한국 정부는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성자치에 관한 논의가 계속 진행되는 가운데 비상설단체 한성부민회가 한성자치제 실시를 위한 상설단체로 재조직되었다. 한성부민회는 통감부로부터 한성자치를 인정받기 위해 일본의 한국 지배를 보조하는 활동을 강화했고, 그것은 한국 황실 관련 및 한일 국민 ‘우호’ 기념 행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성부민회의 자치 구상은 유길준이 작성한 한성부민회규약에 잘 나타나 있는데 그것은 1888년에 제정된 일본 시제(市制)를 원용한 것이다. 한성부민회는 법적 기관이 아니었기 때문에 활동에 공신력이 없다는 한계가 있었고, 한성부민회의 활동이 한국인의 배일감정과 배치되었을 때 한성부민회의 대표성에 시비가 제기되는 원인이 되었다.


The theory of local autonomy is a political self-rescue measure raised by Koreans at a time when national sovereignty was being lost. Hansung autonomy theory is one of the theories of local autonomy and a discussion that directly serves as the foundation of the Hansung People's Association. The Hansung autonomy theory aims to implement an autonomous system in Hansung and expand it to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wide local autonomy system. The Resident-General planned Hansung taxation to secure local expenses in Korea. Ito Hirobumi, the Resident General,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s for smooth taxation, and as a result, the theory of Hansung autonomy emerged among Koreans. In order to institutionalize Hansung autonomy, the Hansung People's Association sought to be recognized by the Resident-General for its status as a local government. However, since the Hansung People's Association was not a legal institution, there was no public confidence in carrying out public affairs in the department. This became a problem when the activities of the Hansung People's Association were contrary to the public opinion of Kor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