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한의사 핵심 역량에 대한 예비 한의사의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미래 한의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한의과 학생 44명을 대상으로 한의사 핵심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 교육과정 실행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cus 모델 분석을 실시하여 한의사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래 사회에 한의 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교육 요구도를 확인한 결과, 모든 역량에서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보건의료 정책 개발 및 참여’, ‘재무 및 인력 관리’, ‘의약품 및 의료기기 관리’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국제 협력 활동’ 및 ‘지역 사회 및 국내 공공 보건 활동’, ‘교육과 연구 활동’에 대한 요구도는 낮게 나타났다. 예비 한의사가 인식하는 미래 한의사에게 필요한 역량 으로는 ‘전자 진료기록 활용 역량’, ‘원격진료 기술 이해 및 적용력’,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석 능력 전자 의료 기록 활용’ 등이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결론 모든 역량에 대하여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게 나타나 현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의학과 관련된 법과 정책, 제도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과 경영자로서 한의사 역량을 함양하는 것이 필요하며 미래의 한의사에게 필요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 또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예비 한의사의 교육 요구도와 인식을 반영하여 한의과 교육과정을 재설계 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In 2015, the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Education & Evaluation undertook a study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Doctors of Korean medicine, with the aim of transitioning the educational system of Korean medical colleges to a competency-based approach. Anticipating future societal changes, the research identifies educational needs for core competencies in Korean medicine, intending to enhance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prospective doctors. Methods The study involved a survey of 44 student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current implementation of core competencies. It utilized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mpetencies needed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doctors in future. Results Results highlight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in ‘Participating in Developing Policies for Public Health,’ ‘Finance &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Manage Medications & Supplements.’ Conversely, lower needs were observed for ‘Participating in Public Health Events Locally & Nationally’ and ‘Learning & Research Activities.’ Essential competencies for future Korean medicine doctors included utiliz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understanding telemedicine technology, and proficiency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nalysi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a higher importance than implementation for all competencies, highlighting the need to review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Specifically,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competencie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related to law, policy, and system involvement, and to enhance management skills as practitioners. The study also underscored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digital technology competencies for future Korean medicine doctors.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for a curriculum re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