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urpose]This paper examines how audit fees change in response to mandated audit fee disclosure in Korea. [Methodology]We use the difference-in-differences approach by comparing changes in audit fees of listed firms who are required to disclose the fees with changes in the fees of unlisted firms who are exempt from the requirement between 1999 and 2002. [Findings]Difference-in-difference analyses show that audit fees of listed firms increase following the disclosure mandate relative to the fee of unlisted firms. Additional analyses show that the overall increase in audit fees is driven by the decrease in negative abnormal audit fees (i.e., reduction in undercharges), not by the increase in abnormal audit fees. Lastly, cross-sectional analyses reveal that the increase in audit fees after the adoption of the disclosure requirement is smaller for larger firms and firms audited by big N auditors, but more pronounced for initial audit engagement. [Implications]This study adds to the literature on how disclosure affects contracts between audit firms and clients by showing a clear causal link between audit fee disclosure and audit fees. We also provide regulatory implications by documenting the consequences of the disclosure regulation.


[연구목적]본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2001년 감사료 공시가 시행되면서 감사료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2001년을 기점으로 감사료를 공시해야 하는 상장기업과 이러한 규제에서 면제되는 비상장기업 간의 감사료 변화를 비교하는 이중차이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이중차이분석 결과, 감사료 공시 의무 이후 상장기업의 감사료가 비상장기업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 분석 결과, 감사료 증가가 과잉 청구의 증가가 아닌, 과소 청구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정상적으로 낮은 감사료를 받는 감사인이 줄어들었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횡당면 분석에서는 감사료 공시 도입 후 감사료 증가가 큰 기업 및 Big N 감사인에 대해서는 작은 반면, 초기 감사 참여에 대해서는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기존 논문의 분석 기법의 취약점을 보완하여 감사료 공시와 감사료 간에 명확한 인과 관계를 보여 줌으로써, 감사인과 기업간의 감사 계약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또한 공시 규정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시 규제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