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가 정파적 가짜뉴스에 대한 판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344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첫 번째로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하위역량별로 정파적 가짜뉴스 판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두 번째로 청소년의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을 확인한 후 유형별 정파적 가짜뉴스 판단 행동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역량 중 유해 미디어 배척 역량이 정파적 가짜뉴스 판단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공적 참여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의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은 ‘평균형(집단1)’, ‘능동적 참여형(집단2)’, ‘위험 대처형(집단3)’, ‘위험 취약형(집단4)’, ‘비판적 참여 배제형(집단5)’, ‘자기중심적 참여형(집단6)’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별 정파적 가짜뉴스 판단 행동 차이 검증 결과 비판적 참여 배제형(집단5)은 평균형(집단1), 능동적 참여형(집단2), 위험 취약형(집단4), 자기중심적 참여형(집단6)보다 정파적 가짜뉴스 판단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유해 미디어 배척 역량을 중심으로 정파적 가짜뉴스 문제를 다루는 구체적인 교육적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권장되는 역량이라고 할 수 있는 미디어를 이용한 ‘공적 참여’에 대해 숙고가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시민 미디어 리터러시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1,34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earch wa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the impact o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civic media literacy sub-competencies was examined, and second, after confirming the type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s, the difference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was confi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competencies of civic media literacy, the ability to exclude harmful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udgment behavior regarding partisan fake news, while public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effect. Second, the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are ‘average type(group 1)’,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risk coping type(group 3)’,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and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judgment behavior in the context of partisan fake news by types of civic media literacy of adolescent, the critically excluding participation type(group 5) was better than the average type(group 1), the active participation type(group 2), the risk-vulnerable type(group 4), and the self-centered participation type(group 6). These research finding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 specific educational discussion should be held to address the issue of partisan fake news, focusing on building competencies to exclude harmful media.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ublic participation’, a competency recommended in civic education, when using media. Third,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civic media lite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