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반도의 근현대 사상사를 전통과 근대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는 매우 중요하다. 한반도와 서구 제국주의의 급격한 접촉이 만들어낸 역동적인 담론투쟁은 그 자체로 한국근현대철학의 내용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식민지 출신의 일본 유학 지식인들의 『學之光』 논설들을 분석했다. 특히 ‘신지식층’으로 불렸던 그들이 수행한 동양전통사상에 대한 자기인식과 평가를 추적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선 동양전통사상 비판의 출발점으로서 신지식층이 가지고 있었던 민족의 생존이라는 문제인식 및 진화론적 세계인식을 살펴봤다. 여기서 동양전통사상에 대한 인식론적 분화과정이 진행되었음을 드러내는 한편 근대적이면서도 탈식민적 기획들이 어떻게 입안되고 결국 굴절되었는지를 밝혔다. 이는 결국 식민주의적 정체성(停滯 性)론 및 타율성(他律性)론의 등장과 확산 속에서 동양전통사상에 일종의 원죄들이 일방적으로 부여되는 담론적 변화과정이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1910-20년대 『學之光』의 동양전통사상 비판담론에 담긴 사상사적 의미는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봤다.


The attempt to interpret the modern history of thought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is very important. This is because the dynamic discourse struggle created by the rapid contact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Western imperialism becomes the content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hilosophy in itself.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editorials in Hakchigwang written by colonial intellectuals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uch a process. In particular, it traced the self-awareness and evaluation of traditional Eastern thought they carried out, which was called the ‘new intellectual class’.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problem perception and evolutionary world perception of the survival of the nation that the new intellectual class had as the starting point for criticizing traditional Eastern thought. Here, while revealing that the epistemological differentiation process for traditional Eastern thought proceeded, it revealed how modern and post- colonial plans were devised and eventually refracted. In the end, this was a process of discourse change in which a kind of original sin was unilaterally attached to traditional Eastern ideas in the emergence and spread of colonial stagnation and otherness discourse.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ideological i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ideology contained in Hakchigwang’s critique of Eastern traditional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