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생명보험계약은 피보험자의 사망, 생존, 사망과 생존에 관하여 보험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보험자가 약정한 보험금을 보험수익자에게 지급하기로 약정한 계약이다(상법 제730조). 상법은 타인을 위한 사망보험계약에서 보험수익자 1인의 고의가 있는 경우에 보험자는 다른 보험수익자에 대하여 보험금지급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는 단지 1개의 규정만을 두고 있다(상법 제732조의2 제2항). 그러나 보험수익자가 2인 이상의 경우 각자가 취득하는 보험금의 비율은 어떻게 정할 것인지, 그것이 보험수익자의 고유재산인지 또는 피보험자의 상속재산으로 보아야하는지, 1인의 고의가 있는 경우 다른 보험수익자들은 보험금 전액을 수령할 수 있는 것인지 등의 문제를 둘러싸고 다툼이 있다. 법적 분쟁으로 보험금 지급이 지연되는 경우 보험소비자가 불이익을 입게 된다. 이 글에서는 타인을 위한 사망보험계약에서 보험금의 법적성격과 보험금 분배비율 및 1인의 고의가 있었던 경우에 대하여 비교적 상세한 법적 규정을 두고 있는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의 법률 규정과 비교를 통하여 우리 상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상법개정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첫째, 상법상 사망보험금의 법적 성격은 보험수익자의 고유재산으로 규정하고, 보험수익자 상호간의 분배비율은 균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보험수익자 1인의 고의가 있었던 경우에는, 그 자에 대한 보험수익자의 지정은 없었던 것으로 보아야 하고, 나머지 보험수익자가 보험금 전액에 대하여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글이 생명보험계약의 사망보험금을 둘러싸고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의 예방 및 합리적 해결방안의 제시라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ife insurance contracts stipulate that in the event of the insured's death, survival, or both, the insurer is obligated to pay the agreed-upon insurance proceeds to the beneficiaries designated by the insured(§730 of the Commercial Code). The Commercial Code only stipulates one provision, which states that in the case of a third-party life insurance contract where one beneficiary has intent, the insurer is obligated to bear the responsibility of paying insurance proceeds to other beneficiaries.(§730-2, ②) The shortcomings of this provision in the Commercial Code are as follows: disputes often arise regarding the distribution ratios of proceeds among multiple beneficiaries, the proprietary nature of these proceeds, and whether intentional actions of one beneficiary affect others' entitlement to the proceeds. Legal disputes delaying the disbursement of insurance proceeds can lead to detriment for insurance consumer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legal nature of insurance proceeds and the distribution ratios of proceeds in life insurance contracts for third partie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ramifications of intentional actions by one beneficiary. Through a detailed comparison of legal provisions in France, Germany, Japan, and China, this study seeks to draw insights applicable to our Commercial Cod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e necessity for amendments to the Commercial Code in the following directions: Firstly, it is deemed necessary to define the legal nature of death insurance proceeds in the Commercial Code as the proprietary assets of the beneficiaries, and it is advisable to distribute the insurance proceeds among beneficiaries equally. Secondly, in cases where one beneficiary has acted intentionally, it should be regarded that no designation of beneficiaries exists for that individual, allowing other beneficiaries to claim the entire insurance proceeds. I hope this article can serve the role of anticipating and proposing reasonable solutions for preventing and resolving legal disputes surrounding death benefits in life insurance contracts.